본문 바로가기

hau4

띠엔 혹 레 허우 혹 반, 예부터 갖추고 학문을 쌓아라 띠엔 혹 레 허우 혹 반 소개 한국에서는 많이 인용되지 않지만 베트남에서는 거의 모든 학교에 걸려있을 정도로 많이 알려진 성어로 이 있습니다. 한국에서는 선례후학이라는 사자성어로 더 알려진 이 한자성어는 "먼저 예를 배우고 후에 학문을 익혀라"는 뜻을 가졌으며, 베트남어로 된 풀이는 "học lễ nghĩa trước, sau đó mới học kiến thức" 입니다. 사자성어 tiên học lễ 띠엔 혹 레 선 학 례 먼저 先 배울 學 예도 禮 사자성어 hậu học văn 허우 혹 반 후 학 문 뒤 後 배울 學 글월 文 목차 4자 해부 사자성어 속 각 자의 풀이는 다음과 같습니다. 1. tiên 선 先 ∨ 첫 번째 자인 tiên은 첫소리 t에 나머지소리 {iên}이 결합한 자입니다. 한자음 해.. 2023. 7. 31.
보 띠엔 코앙 허우, 전에도 없고 앞으로도 없다 보 띠엔 코앙 허우 소개 한국에서 전무후무를 쓴다면 베트남에서는 를 씁니다. 사실 이 사자성어는 중국에서 쓰는 공전광후(空前曠後)의 공 자와 없을 무 자를 동일시한 실수에서 출발한 과잉정정의 결과라고 하며 결과적으로 베트남에만 있는 사자성어라고 합니다. [관련링크: Thanh Nien] "전에도 없었고 앞으로도 없다"는 뜻을 가진 이 사자성어의 베트남어로 된 풀이는 "chưa từng có trong quá khứ và cũng sẽ không có trong tương lai" 입니다. 사자성어 vô tiền khoáng hậu 보 띠엔 코앙 허우 무 전 광 후 없을 無 앞 前 밝을 曠 뒤 後 목차 4자 해부 사자성어 속 각 자의 풀이는 다음과 같습니다. 1. vô 무 無 첫 번째 자인 vô는 첫소리 .. 2023. 4. 3.
띠엔 으우 허우 락, 먼저 근심하고 나중에 즐거워 하다 띠엔 으우 허우 락 소개 의 구조를 가진 많은 사자성어 중에서 활용도는 떨어지지만 한국과 베트남에 모두 있는 한자성어로 이 있습니다. "남보다 먼저 근심하고 남보다 나중에 즐거워 한다"는 뜻을 가진 이 고사성어는 북송의 명재상 범붕엄의 명문장 에서 유래했다고 하며 나라를 이끄는 지도자가 가져야 할 덕목 중 하나라고들 말합니다. 베트남어로 된 풀이는 "lo trước thiên hạ và vui sau thiên hạ; lo trước vui sau" 입니다. 사자성어 tiên ưu hậu lạc 띠엔 으우 허우 락 선 우 후 락 먼저 先 근심 憂 뒤 後 즐거울 樂 목차 4자 해부 사자성어 속 각 자의 풀이는 다음과 같습니다. 1. tiên 선 先 ∨ 첫 번째 자인 tiên은 첫소리 t에 나머지소리 {iê.. 2023. 3. 10.
땀 뜨 허우 한, 세번 생각하고 실행하라 땀 뜨 허우 한 소개 한국에서는 삼사일언(三思一言) 또는 삼사일행(三思一行)이라고 쓰지만 베트남에서는 비슷한 버전으로 이라는 사자성어를 씁니다. "세번 생각하고 행하라"는 뜻을 가진 이 사자성어는 어떤 일을 행할 때 신중을 기하고 여러번 심사숙고해야 한다는 의미를 가졌으며, 베트남어로 된 풀이는 "suy nghĩ ba lần trước khi làm" 입니다. 사자성어 tam tư hậu hành 땀 뜨 허우 한 삼 사 후 행 석 三 생각할 思 뒤 後 행위 行 목차 4자 해부 사자성어 속 각 자의 풀이는 다음과 같습니다. 1. tam 삼 三 ∨ 첫 번째 자인 tam은 첫소리 t에 나머지소리 {am}이 결합한 자입니다. 한자음 해부도 첫소리 나머지소리 한자음 t + am = tam ㄸ 땀 땀 ㅅ, ㅈ, ㅊ.. 2023. 1.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