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246 나머지소리 {iên}은 {언, 연} {iên}은 {언, 연}오늘 다룰 나머지소리는 [이엔]이라고 표기하고 발음하는 나머지소리 {iên}입니다. 나머지소리 {iên}이 포함된 베트남 한자음은 약 320개가 있으며, 이중 대부분이 한국 한자음으로 {언} 또는 {연} 이 됩니다. 그 다음 순으로 큰 격차를 두고 한국 한자음으로 {원}이 되고 그 다음에 {인, 안} 등으로 이어집니다.나머지소리 중심첫소리+나머지소리=한자어iên{ 언 } 끝소리나머지소리 {iên} 중에서 끝소리 n은 한국 한자음으로 대부분 [ㄴ] 받침이 됩니다. 자세한 발음에 관한 설명은 아래 페이지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베트남어의 모음 베트남어의 자음 음의 비율 %언연원인 나머지소리 {iên}가/이 포함된 베트남 한자음 약 320개를 한국 한자음으로 풀이하면 {언}이 과반이.. 2025. 5. 12. 싸움 chiến 전 베트남 한자음 chiến 소개베트남 통일 50주년을 맞아 소개하는 첫번째 한자는 싸움 戰자의 베트남 음인 chiến입니다. 싸울 전이라고도 합니다. 한자chiến戰전베트남 한자음한자한국 한자음 목차 한자음 해부도베트남 한자음 chiến은 첫소리 자음 ch와 나머지소리 {iên}의 조합으로 구성된 자입니다.한자음 해부도첫소리 나머지소리 한자음ch+iên=chiếnㅉ이엔찌엔 발음 유사도 (표기법 기준)베트남 한자음 chiến은 한국어로 [찌엔]이라고 표기하며, 한국 한자음 과 첫소리의 발음이 다르고 나머지소리의 발음은 같습니다. 자세한 발음에 관한 설명은 아래 페이지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베트남어의 모음 바로가기 베트남어의 자음 바로가기 동음이의어 (성조 무관)싸움 戰자와 발음은 같으나 다른 뜻을 가진.. 2025. 5. 5. [베트남 통일 50주년] 갈등없이 평온하다 (PEACE) hòa bình 화 평베트남 통일 50주년을 맞아 소개하는 세번째 한자어는 , 즉 평화입니다. 전쟁이나 갈등 없이 평온하다, 평온하고 화목하다는 뜻을 가졌으며, 우리뿐만 아니라 인류 전체의 영원한 숙제일 것입니다. 한자어hòabình호아빈화평고를 和평평할 平 목차 단어 해부단어 속 각 자의 풀이는 다음과 같습니다. 1. hòa 화 和첫 번째 자인 hòa는 첫소리 h에 나머지소리 {oa}가 결합한 자입니다.한자어 해부도첫소리 나머지소리 한자어h+oa=hòaㅎ오아호아ㅎ와, 아화 발음 유사도 (표기법 기준)베트남 한자음 hòa는 한국어로 [호아]라고 표기하며, 한국 한자음 와는 첫소리의 발음이 같고 나머지소리의 발음도 거의 같습니다. 한자음 풀이베트남 한자음 hòa의 첫소리 자음 h는 압도적 비율로 한국 .. 2025. 5. 1. [베트남 통일 50주년] 둘이 하나로 합치다 thống nhất 통일사이공 해방과 함께 베트남 통일 50주년(1975~2025)이 되는 4월 30일을 맞아 소개하는 오늘의 한자어는 입니다. 한자어thốngnhất통녓통일거느릴 統한 一 목차 단어 해부단어 속 각 자의 풀이는 다음과 같습니다. 1. thống 통 統첫 번째 자인 thống은 첫소리 th에 나머지소리 {ông}이 결합한 자입니다.한자어 해부도첫소리 나머지소리 한자어th+ông=thốngㅌ옹통ㅅ, ㅊ, ㅌ옹통 발음 유사도 (표기법 기준)베트남 한자음 thống은 한국어로 [통]이라고 표기하며, 한국 한자음 와 첫소리의 발음이 거의 같고 나머지소리의 발음이 유사합니다. 🔔 입다뭄 현상 (양순음화)끝소리 ng가 원순모음 와 결합하는 경우 발음 직후 입을 다물어줘야 합니다. 따라서 위 .. 2025. 4. 30. [베트남 통일 50주년] 가둬있던 것을 자유롭게 하다 giải phóng 해방베트남 통일 50주년을 맞아 소개하는 오늘의 한자어는 입니다. 한때 동방의 진주라고도 불렸던 사이공은 해방을 계기로 호찌민 시(thành phố Hồ Chí Minh)라는 이름으로 다시 태어났습니다. 한자어giảiphóng자이퐁해방풀 解놓을 放 목차 단어 해부단어 속 각 자의 풀이는 다음과 같습니다. 1. giải 해 解첫 번째 자인 giải은 겹자음 첫소리 gi에 나머지소리 {ai}가 결합한 자입니다.한자어 해부도첫소리 나머지소리 한자어gi+ai=giảiㅈ아이자이ㄱ, ㅎ애해 발음 유사도 (표기법 기준)베트남 한자음 giải는 한국어로 [자이] (남부: 야이)라고 표기하며, 한국 한자음 와 비교했을 때 첫소리의 발음이 다르고 나머지소리의 발음은 풀어쓴듯 유사합니다. 한자음 풀.. 2025. 4. 29. 나머지소리 {iêm}은 {엄, 염} {iêm}은 {엄, 염}오늘 다룰 나머지소리는 [이엠]이라고 표기하고 발음하는 나머지소리 {iêm}입니다. 나머지소리 {iêm}이 포함된 베트남 한자음은 약 150개가 있으며, 이중 대부분이 한국 한자음으로 {엄, 염}이 됩니다. 그 다음 순으로 큰 격차를 두고 {암}, {음}, {임} 등으로 이어집니다.나머지소리 중심첫소리+나머지소리=한자어iêm{ 엄, 염 } 끝소리나머지소리 {iêm} 중에서 끝소리 m은 한국 한자음으로 대부분 [ㅁ] 받침이 됩니다. 자세한 발음에 관한 설명은 아래 페이지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베트남어의 모음 베트남어의 자음 음의 비율 %엄염암.. 나머지소리 {iêm}이 포함된 베트남 한자음 약 150개를 한국 한자음으로 풀이하면 {엄, 염}이 95%에 이르는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 2025. 4. 26. 나머지소리 {ich}은 {억, 역} {ich}은 {억, 역}오늘 다룰 나머지소리는 [잇]이라고 표기하고 발음하는 나머지소리 {ich}입니다. 나머지소리 {ich}이 포함된 베트남 한자음은 약 160 여개가 있으며, 이중 상당수가 한국 한자음으로 {억} 또는 {역}이 됩니다. 그 다음 순으로 큰 격차를 두고 한국 한자음으로 {윽}이 되고 그 다음에 {익} 등으로 이어집니다.나머지소리 중심첫소리+나머지소리=한자어ich{ 억, 역 } 끝소리나머지소리 {ich} 중에서 끝소리 ch는 한국 한자음으로 대부분 [ㄱ] 받침이 됩니다. 자세한 발음에 관한 설명은 아래 페이지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베트남어의 모음 베트남어의 자음 ✋ 잠깐! 성조결합의 제한나머지소리 {ich}의 끝소리 ch는 파열음에 속하므로 올림조 á 또는 낙하조 ạ 이상 2개의 성조.. 2024. 11. 30. 이전 1 2 3 4 ··· 3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