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huu3

보 쭝 신 흐우, 무에서 유가 생겨나다 보 쭝 신 흐우 소개 한국에서처럼 널리 쓰이지는 않지만 베트남에서도 쓰이는 사자성어 중에는 이 있습니다. "우주 만물은 무에서 생겨난다"는 뜻을 가진 이 사자성어는 첫번째 뜻 외에도 "없는 일을 지어내 말썽을 일으킨다"는 뜻으로도 쓰입니다.본래 노자의 도덕경에서 유래했지만 손자병법(Binh Pháp Tôn Tử) 속 적전계의 일부로 잘 알려져 있으며, 베트남어로 된 풀이는 "trong không mà sinh có; khi không mà sinh việc" 입니다. 사자성어 vô trung sinh hữu 보 쭝 신 흐우 무 중 생 유 없을 無 가운데 中 날 生 있을 有 목차 4자 해부 사자성어 속 각 자의 풀이는 다음과 같습니다. 1. vô 무 無 ∨ 첫 번째 자인 vô는 첫소리 v에 나머지소리 {ô.. 2023. 4. 7.
따 쑹 흐우 돗, 이리저리 닥치는대로 부딪힘 따 쑹 흐우 돗 소개 한국에서만큼은 아니어도 베트남에서도 심심찮게 쓰이는 사자성어 중에 이 있습니다. "이리저리 마구 치고받고 부딪힌다" 또는 "아무에게나 함부로 맞닥뜨린다"라는 뜻을 가진 이 사자성어는 베트남어로 된 풀이는 "đụng bên trái, chạm bên phải; đánh bên trái, đánh bên phải"입니다. 사자성어 tả xung hữu đột 따 쑹 흐우 돗 좌 충 우 돌 왼 左 찌를 衝 오른 右 갑자기 突 목차 4자 해부 사자성어 속 각 자의 풀이는 다음과 같습니다. 1. tả 좌 左 ∨ 첫 번째 자인 tả은 첫소리 t에 나머지소리 {a}가 결합한 자입니다. 한자음 해부도 첫소리 나머지소리 한자음 t + a = tả ㄸ 아 따 ㅅ, ㅈ, ㅊ 아/야 좌 발음 유사도 (표.. 2023. 1. 26.
흐우 잔 보 텃, 이런 개살구 흐우 잔 보 텃 소개 베트남에서도 거의 한국에서만큼 쓰이는 사자성어 중에는 이 있습니다. "이름만 그럴듯하고 실속은 없다"는 뜻을 가진 이 사자성어는 삼국지에서 유래했다고 하며, 껍데기는 화려하지만 알맹이는 없다고 비판할 때 자주 인용됩니다. 우리말 속담으로는 "빛 좋은 개살구"가 되겠습니다. 베트남어로 된 풀이는 "có danh mà không có thực; có trên danh nghĩa nhưng thực chất thì chẳng có gì" 입니다. 사자성어 hữu danh vô thật / thực 흐우 잔 보 텃/특 유 명 무 실 있을 有 이름 名 없을 無 열매 實 목차 4자 해부 사자성어 속 각 자의 풀이는 다음과 같습니다. 1. hữu 유 有 ∨ 첫 번째 자인 hữu는 첫소리 h에 나.. 2022. 12.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