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 똔 느 띠 소개
지난 시대의 유물과 같은 사자성어지만 한국과 베트남 양국에서 널리 알려진 사자성어로 <남존여비 nam tôn nữ ti 男尊女卑>가 있습니다.
"남자는 존귀하고 여성은 천하다"는 뜻을 가진 이 사자성어의 베트남어로 된 풀이는 "đàn ông là đáng quý, đàn bà là đáng khinh" 입니다.
남아 선호 사상은 여전히 남아있지만 2022년 세계경제포럼(WEF)의 보고서에 따르면 베트남은 한국보다 성평등 지수가 높은 것으로 평가 받고 있습니다.
| nam | tôn | nữ | ti |
| 남 | 똔 | 느 | 띠 |
| 남 | 존 | 여 | 비 |
| 사내 男 | 높을 尊 | 여자 女 | 낮을 卑 |
목차
4자 해부
사자성어 속 각 자의 풀이는 다음과 같습니다.
1. nam 남 男 ∨
첫 번째 자인 nam은 첫소리 n에 나머지소리 {am}이 결합한 자입니다.
| 첫소리 | 나머지소리 | 한자음 | ||
|---|---|---|---|---|
| n | + | am | = | nam |
| ㄴ | 암 | 남 | ||
| ㄴ | 암 | 남 |
발음 유사도 (표기법 기준)
베트남 한자음 nam은 한국어로 [남]이라고 표기하며, 한국 한자음 <남>과 첫소리와 나머지소리의 발음이 같습니다.
한자음 풀이
베트남 한자음 nam의 첫소리 자음 n는 압도적 비율로 한국 한자음의 [ㄴ]이 되며, 나머지소리 {am}은 압도적 비율로 한국 한자음 속 {암}이 됩니다.
꼬리에 꼬리를 무는 단어장
해당 한자가 포함된 대표적인 단어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 베트남어 | 발음 | 한자 | 한국어 |
|---|---|---|---|
| nam nhi | 남 니 | 男兒 | 남아 "사나이"의 의미 |
| nam tước | 남 뜨억 | 男爵 | 남작 |
| thứ nam | 트 남 | 妻男 | 차남 |
| trưởng nam | 쯔엉 남 | 長男 | 장남 |
2. tôn 존 尊 ∨
두 번째 자 tôn는 첫소리 t에 나머지소리 {ôn}이 결합한 자입니다.
| 첫소리 | 나머지소리 | 한자음 | ||
|---|---|---|---|---|
| t | + | ôn | = | tôn |
| ㄸ | 온 | 똔 | ||
| ㅅ, ㅈ, ㅊ | 온, 운 | 존 |
발음 유사도 (표기법 기준)
베트남 한자음 tôn는 한국어로 [똔]이라고 표기하며, 한국 한자음 <존>과는 첫소리의 발음이 다르고 나머지소리의 발음은 같습니다.
한자음 풀이
베트남 한자음 tôn의 첫소리 자음 t는 절반에 못 미치는 비율로 한국 한자음의 [ㅅ]이 되며 그 다음에 [ㅈ] 순으로 이어집니다. 나머지소리 {ôn}은 과반의 비율로 한국 한자음 속 {온}이 됩니다.
꼬리에 꼬리를 무는 단어장
해당 한자가 포함된 대표적인 단어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 베트남어 | 발음 | 한자 | 한국어 |
|---|---|---|---|
| tôn nghiêm | 똔 응이엠 | 尊嚴 | 존엄 |
| tôn kính | 똔 낀 | 尊敬 | 존경 |
| tôn quý | 똔 뀌 | 尊貴 | 존귀 |
| tôn trọng | 똔 쫑 | 尊重 | 존중 |
3. nữ 녀 女 ∨
세 번째 자 nữ는 첫소리 n에 나머지소리 {ư}가 결합한 자입니다.
| 첫소리 | 나머지소리 | 한자음 | ||
|---|---|---|---|---|
| n | + | ư | = | nữ |
| ㄴ | 으 | 느 | ||
| ㄴ | 어, 아 | 녀 |
발음 유사도 (표기법 기준)
베트남 한자음 nữ은 한국어로 [느]라고 표기하며, 한국 한자음 <녀>와 첫소리의 발음이 같고 나머지소리의 발음은 유사합니다. 한국어에서 <녀>가 아닌 <여>로 표기되는 것은 두음 법칙으로 인한 현상이며 한자 원음은 <녀>입니다.
⚠ 두음 법칙이란? 특정 음운이 어두의 위치에서 탈락하거나 변형되는 현상을 말하며, 우리말에는 대표적으로 니은(ㄴ) 두음 법칙과 리을(ㄹ) 두음 법칙이 있다고 합니다. (예: 년세 > 연세, 락원 > 낙원)
한자음 풀이
베트남 한자음 nữ의 첫소리 자음 n은 압도적 비율로 한국 한자음의 [ㄴ]이 되며, 나머지소리 {ư}는 과반의 비율로 한국 한자음 속 {어}가 되며 그 다음에 {아} 순으로 이어집니다. {여}는 그 다음입니다.
꼬리에 꼬리를 무는 단어장
해당 한자가 포함된 대표적인 단어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 베트남어 | 발음 | 한자 | 한국어 |
|---|---|---|---|
| nữ hoàng | 느 호앙 | 女皇 | 여황 |
| chức nữ | 쯕 느 | 織女 | 직녀 |
| tiên nữ | 띠엔 느 | 仙女 | 선녀 |
| thiếu nữ | 티에우 느 | 少女 | 소녀 |
4. ti 비 卑
네 번째 자 ti는 첫소리 t와 나머지소리 {i}가 결합한 자입니다.
| 첫소리 | 나머지소리 | 한자음 | ||
|---|---|---|---|---|
| t | + | i | = | ti |
| ㄸ | 이 | 띠 | ||
| ㅅ, ㅈ, ㅊ | 이 | 비 |
발음 유사도 (표기법 기준)
베트남 한자음 ti은 한국어로 [띠]라고 표기하며, 한국 한자음 <비>와는 첫소리의 발음이 다르고 나머지소리의 발음은 같습니다.
한자음 풀이
베트남 한자음 ti의 첫소리 자음 t는 절반에 못 미치는 비율로 한국 한자음의 [ㅅ]이 되며 그 다음에 [ㅈ] 순으로 이어집니다. [ㅂ] 이 되는 확률은 적습니다. 나머지소리 {i}는 압도적 비율로 한국 한자음 속 {이}가 됩니다.
꼬리에 꼬리를 무는 단어장
해당 한자가 포함된 대표적인 단어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 베트남어 | 발음 | 한자 | 한국어 |
|---|---|---|---|
| ti tiện | 띠 띠엔 | 卑賤 | 비천 |
활용도 ★★★
해당 사자성어는 베트남 현지 신문에 종종 인용되며, 일상대화에서도 가끔 들을 수 있습니다. 동아시아 유교문화권의 뿌리깊은 세계관에서 기원한 사상이라 베트남에서도 다수가 아는 한자 성어라 하겠습니다.
다만 이 사자성어 대신 베트남어의 어순과도 맞아서 더 쉽게 이해가 가능한 <trọng nam khinh nữ 중남경녀 重男輕女>를 훨씬 더 많이 사용합니다(★★★★★).
예시
많은 베트남 여성들이 여전히 남존여비 사상을 가지고 있다 (출처: Bao Dan Sinh) (출처: Dan Tri) 성비 불균형 해소를 위해 "남존여비" 사상을 없애야 한다 (출처: Dan Tri)
'한자음 대조 > 사자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녓 피엔 단 떰, 나의 마음은 민들레 (0) | 2022.12.31 |
|---|---|
| 푸 쓰엉 푸 뛰, 바늘 가는데 실 간다 (0) | 2022.12.29 |
| 녓 띠에우 티엔 낌, 한번의 미소는 천금과 같다 (0) | 2022.12.27 |
| 녓 끄 르엉 띠엔, 일타쌍피 (0) | 2022.12.26 |
| 녓 끄 녓 동, 일거수 일투족 (0) | 2022.12.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