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모와 발음

복음을 전하기 위해 만들어진 문자

2022. 10. 9.

 

576돌 한글날(2022년 10월 9일)을 맞아, 베트남 문자는 어떤 길을 걸어왔는지 살펴봅니다. (세종대왕님 감사합니다)

 

목차

     

    베트남 문자의 역사

    베트남의 현 문자 체계는 17세기 초엽, 베트남에 진출한 포르투갈, 이탈리아 등 서양 선교사들이 포교 활동에 편리를 기하기 위하여 베트남 말을 각기 자기 나라 글로 표기하여 사용하다가 베트남 학자의 도움을 받아 라틴 문자(Latin Alphabet)를 빌려서 만들었습니다.

     

    그중에서도 처음 베트남어를 라틴 문자로 표기하는 방법을 고안한 것은 포르투갈 태생의 선교사 프란치스코 드 피나(Francisco de Pina, 1585~1625)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는 일본에서 활동하던 동료 선교사로부터 일본어를 라틴 문자로 옮기는 방법을 학습하여 베트남어에도 적용하였다고 하며, 베트남어를 유창하게 구사한 첫 번째 유럽인으로 역사에 기록되기도 했습니다.

    프란치스코 드 피나(좌), 알렉상드르 드 로드(우)
    프란치스코 드 피나(좌), 알렉상드르 드 로드(우)

     

    복음을 전하기 위해 만들어진 문자

     

    복음을 더 잘 전하기 위해서 선교사에게 현지 언어 구사는 필수적이라고 주장한 그는 이후 학교를 설립하여 다른 선교사들에게 직접 베트남어를 가르쳤는데 지금은 그 자신보다 더 잘 알려진 알렉상드르 드 로드가 그의 제자 중 한 명입니다. (논란의 여지가 있지만 이 부분은 이후 베트남을 식민지배했던 프랑스의 영향이 컸을 것으로 해석됩니다.)

     

    프란치스코 선교사가 불의의 익사 사고로 젊은 나이에 세상을 떠난 후 라틴 문자를 사용한 베트남어 문자 체계는 이 프랑스 태생의 선교사 알렉상드르 드 로드(Alexandre de Rhodes, 1591~1660)가 선배의 유고와 유지를 이어받아 마무리 작업을 하며 기여한 공이 특히 많은 것으로 전해집니다.

     

    그는 최초의 베트남어 사전과 베트남어 문법책을 편찬하기도 했으며(1651년 Viet Nam-Portugal-Latin 사전, Ngữ pháp tiếng An Nam 편찬), 결국 베트남어의 라틴 문자 표기법을 완성한 베트남 나라글의 창시자로 이름을 남겼습니다. 

     

    최초의 베트남어 사전
    최초의 베트남어 사전

     

    나라글이 되기까지

    하지만 천년에 이르는 중국의 오랜 지배의 영향으로 한자 및 베트남식 이두문인 쯔놈(Chữ Nôm)을 숭상하는 지식층과 선비사회의 천대로 무려 2세기 동안 제한된 영역에서만 사용되던 라틴 문자 체계는 19세기 말 프랑스 강점기에 이르러서야 중국 한자어의 영향을 없애려던 프랑스 식민정권에 의해 일시적으로 보급이 장려(한자 과거제도 폐지: 북부지역 1915년, 중부지역 1918년)되면서 나날이 전파되기 시작했습니다.

     

    그러다 라틴 문자 체계의 발전이 프랑스어 교육에 악영향을 미칠 것을 우려한 프랑스 식민정권에 의해 행정·외교·교육 등 주요 영역에서는 다시 프랑스어가 사용되며 또 한 번의 고비를 맞았으며 결국 1924년이 돼서야 인도차이나 전권 총독에 의해 초등학교 저학년까지를 상대로 한 라틴 문자의 교육이 허용되었습니다.

     

    라틴 문자 체계는 인도차이나 공산당 창립 이후 혁명 활동의 공구로써 공개적으로 출판되는 신문과 책은 물론 당의 수많은 비밀서류들을 기록하는 데 사용되기도 했습니다. 이후 1938년 북부지방 위원회가 국민계몽을 위하여 국어 전파회(Hội Truyền Bá Quốc Ngữ)를 설립하고, 이어서 1945년 8월 혁명 후에는 혁명정권이 문맹퇴치운동(Bình dân học vụ)을 시행하면서 마침내 전국적으로 널리 보급되게 됩니다.

     

    그리고 같은 해 창립된 베트남 민주 공화국에 의해 마침내 나라글(Chữ Quốc Ngữ, 쯔꾸옥응으)로 정식 채택되며 현재의 지위를 얻었습니다.

     

    알렉상드르 드 로드 사후 285년 만이었습니다.

     

     

    함께 보기

    베트남의 나라글(쯔꾸옥응으)의 자모표는 자모와 발음 카테고리에 있는 아베쎄 비엣남 페이지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아베쎄 비엣남

    고대 그리스어에는 그리스어를 기록하는 자음 17개와 모음 7개, 총 24자의 자모가 있었다고 합니다. 이들 자모는 고대 로마 시대에 이르러 오늘날 유럽 알파벳의 모체가 되는 라틴(Latin) 알파벳이

    kokovi.com

    반응형

    '자모와 발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베트남어 자음의 발음(중급)  (0) 2022.10.15
    베트남어 모음의 발음(중급)  (0) 2022.10.12
    아베쎄 비엣남  (0) 2022.10.09
    꼬꼬베의 베트남어 표기법  (2) 2022.10.07
    국립국어원의 베트남어 표기법  (1) 2022.09.3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