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o}4 [수상한-자] "머우 쟈오"도 엄연한 모교 수상한-자(字) 한국어로는 한자어라는걸 확신하는데 비슷한 발음의 베트남어가 한자어인지 확신이 서지 않을 때가 있습니다. 또는 반대로 베트남어의 모양새를 봤을 때 한자어라는걸 짐작할수 있지만 한국 한자어로는 엉뚱한 풀이가 되어 당황할 때가 있습니다. 베트남과 한국은 오랜 세월 같은 한자의 영향을 받았으니 대부분 비슷한 구성의 한자어를 사용할 것이고 발음마저 비슷할 확률이 높습니다. 그렇다보니 발음의 유사성만 보고 특정 한자어라고 단정짓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고는 합니다. 아래 소개할 mẫu giáo도 그중 하나입니다. 그럴싸한 단서 오늘의 수상한 자와 그 발음을 살펴보겠습니다. 수상한자(字) mẫu giáo 수상한 자 머우 쟈오 [ 발음표기 ] mẫu giáo은 한국어로 [머우 쟈오(남부: 야오)]라고 표기.. 2024. 3. 29. 나머지소리 {ao}는 {오} {ao}는 {오} 오늘 다룰 나머지소리는 [아오]라고 표기하고 발음하는 나머지소리 {ao}입니다. 나머지소리 {ao}가 포함된 베트남 한자음은 어림잡아 약 360개가 있으며, 이중 압도적 다수가 한국 한자음으로 {오/요}가 됩니다. 그 다음 순으로 큰 격차를 두고 {외}가 되고 {우}가 됩니다. 나머지소리 중심 첫소리 + 나머지소리 = 한자어 ao { 오/요 } 자세한 발음에 관한 설명은 아래 페이지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베트남어의 모음 베트남어의 자음 음의 비율 % 오/요 외 우 나머지소리 {ao}가 포함된 베트남 한자음 약 360개를 한국 한자음으로 풀이하면 {오/요}가 98.5%로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하며, 그 다음으로 {외}와 {우}가 각각 1%, 0.5%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따금 한국 한자.. 2023. 9. 17. 가르칠 giáo 교 베트남 한자음 giáo 소개한국의 스승의 날을 맞아 소개하는 오늘의 한자는 가르칠 敎자의 베트남 음인 giáo입니다. 한자giáo敎교베트남 한자음한자한국 한자음 목차 한자음 해부도베트남 한자음 giáo는 첫소리 자음 gi와 나머지소리 {ao}의 조합으로 구성된 자입니다.한자음 해부도첫소리 나머지소리 한자음gi+ao=giáoㅈ아오자오 발음 유사도 (표기법 기준)베트남 한자음 giáo는 한국어로 [자오] (남부: 야오)라고 표기하며, 한국 한자음 과 첫소리의 발음이 다르고 나머지소리의 발음은 유사합니다. 자세한 발음에 관한 설명은 아래 페이지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베트남어의 모음 바로가기 베트남어의 자음 바로가기 동음이의어 (성조 무관)가르칠 敎자와 발음은 같으나 다른 뜻을 가진 giao 자들도 의미와.. 2023. 5. 15. 보전할 bảo 보 베트남 한자음 bảo 소개알파벳 b로 시작하는 한자 중에서는 대표적으로 보전할(지킬) 保자의 베트남 음인 bảo를 들 수 있습니다.한자음bảo保보베트남 한자음한자한국 한자음 목차 한자음 해부도베트남 한자음 bảo는 첫소리 자음 b과 나머지소리 {ao}의 조합으로 구성된 자입니다.한자음 해부도첫소리 나머지소리 한자음b+ao=bảoㅂ아오바오 발음 유사도 (표기법 기준)베트남 한자음 bảo는 한국어로 [바오]라고 표기하며, 한국 한자음 와 첫소리의 발음이 같고 나머지소리의 발음은 비슷합니다. 자세한 발음에 관한 설명은 아래 페이지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베트남어의 모음 바로가기 베트남어의 자음 바로가기 동음이의어 (성조 무관)지킬 保자와 발음은 같으나 다른 뜻을 가진 bao 자들도 의미와 상관 없이 한국 .. 2022. 11. 7.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