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

반 벗 자 디엠, 만점짜리 명문 반 벗 자 디엠 소개 많이 인용되지는 않아도 한국과 베트남에 모두 있는 사자성어 중에 이 있습니다. "점 하나 찍을 곳 없이 잘 쓴 글"이라는 뜻을 가진 이 사자성어의 베트남어로 된 풀이는 "văn hay không sửa chữa được; văn không gia điểm" 입니다. 사자성어 văn bất gia điểm 반 벗 자 디엠 문 불 가 점 글월 文 아니 不 더할 加 점 點 목차 4자 해부 사자성어 속 각 자의 풀이는 다음과 같습니다. 1. văn 문 文 ∨ 첫 번째 자인 văn은 첫소리 v에 나머지소리 {ăn}이 결합한 자입니다. 한자음 해부도 첫소리 나머지소리 한자음 v + ăn = văn ㅂ 안 반 ㅇ, ㅁ 운, 인 문 발음 유사도 (표기법 기준) 베트남 한자음 văn은 한국어로 [반.. 2023. 3. 29.
으우 탕 리엣 바이, 나으면 이기고 못하면 진다 으우 탕 리엣 바이 소개 한국만큼은 아니지만 베트남에서도 쓰이는 사자성어 중에는 또한 가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앞서 소개한 약육강식과 같이 인용되는 경우가 많은 사자성어입니다. "나은 자가 이기고 그보다 못한 자가 진다"는 뜻을 가진 이 사자성어의 베트남어로 된 풀이는 "hơn thì thắng, kém thì thua" 입니다. 사자성어 ưu thắng liệt bại 으우 탕 리엣 바이 우 승 렬 패 뛰어날 優 이길 勝 못할 劣 패할 敗 목차 4자 해부 사자성어 속 각 자의 풀이는 다음과 같습니다. 1. ưu 우 優 첫 번째 자인 ưu는 첫소리 없이 나머지소리 {ưu}로만 구성된 자입니다. 한자음 해부도 첫소리 나머지소리 한자음 - + ưu = ưu - 으우 으우 - 우, 유 우 발음 유사도 (표.. 2023. 3. 28.
뛰 신 몽 뜨, 한평생 취해 살고 꿈꾸듯 죽는다 뛰 신 몽 뜨 소개 O생O사는 친근한 구조의 사자성어 같지만 막상 기억을 더듬어보면 사자성어 대신 옛날 가요부터 떠오릅니다. 오늘 다루는 역시 한국과 베트남에 존재는 하지만 많이 쓰이지 않는 사자성어 중 하나입니다. "술에 취해 살고 꿈속에서 죽는다"는 겉뜻을 가진 이 사자성어는 아무 하는 일 없이 한평생을 흐리멍덩하게 살아감을 이르는 말이라고 하며, 베트남어로 된 풀이는 "sống trong cơn say chết trong giấc mơ; sống không có lý tưởng" 입니다. 사자성어 tuý sinh mộng tử 뛰 신 몽 뜨 취 생 몽 사 취할 醉 날 生 꿈 夢 죽을 死 목차 4자 해부 사자성어 속 각 자의 풀이는 다음과 같습니다. 1. tuý 취 醉 ∨ 첫 번째 자인 tuý는 첫소.. 2023. 3. 25.
뜨 뜨엉 머우 투언, 내안의 창과 방패 뜨 뜨엉 머우 투언 소개 한국과 마찬가지로 베트남에서도 뒷 2자만 널리 알려진 사자성어 중에 이 있습니다. "창과 방패처럼 스스로 앞뒤가 맞지 않는다"는 뜻을 가진 이 고사성어는 초나라 시대에 모든 방패를 뚫는 창과 모든 창을 막아내는 방패를 동시에 팔던 한 상인의 유명한 일화에서 유래했으며, 베트남어로 된 풀이는 "nói mình tự chống trái với mình nhu khiên giáo trái nhau" 입니다. 사자성어 tự tương mâu thuẫn 뜨 뜨엉 머우 투언 자 상 모 순 스스로 自 서로 相 창 矛 방패 盾 목차 4자 해부 사자성어 속 각 자의 풀이는 다음과 같습니다. 1. tự 자 自 ∨ 첫 번째 자인 tự는 첫소리 t에 나머지소리 {ư}가 결합한 자입니다. 한자음 해부도.. 2023. 3. 22.
코 떤 깜 라이, 끝내 이루리라 코 떤 깜 라이 소개 한국에서처럼 많이 알려지지는 않지만 베트남에서도 쓰이는 사자성어 중에는 가 있습니다. "쓴 것 끝에는 단 것이 온다"는 뜻을 가진 이 고사성어는 우리말 속담으로 "고생 끝에 낙이 온다"에 해당합니다. 베트남어로 된 풀이는 "hết đắng đến ngọt, hết cực đến sướng" 입니다. 사자성어 khổ tận cam lai 코 떤 깜 라이 고 진 감 래 쓸 苦 다할 盡 달 甘 올 來 목차 4자 해부 사자성어 속 각 자의 풀이는 다음과 같습니다. 1. khổ 고 苦 ∨ 첫 번째 자인 khổ는 첫소리 kh에 나머지소리 {ô}가 결합한 자입니다. 한자음 해부도 첫소리 나머지소리 한자음 kh + ô = khổ 코 코 코 고 고 고 발음 유사도 (표기법 기준) 베트남 한자음 kh.. 2022. 12. 9.
꼿 뉵 뜨엉 딴의 비극 꼿 뉵 뜨엉 딴 소개 자음 c로 시작하는 사자성어 중 한국과 베트남 모두에서 나름 알려진 사자성어로는 이 있습니다. 베트남 발음이 쌍기역, 쌍디귿 등 된소리 범벅이어서 듣기만 해도 세게 들립니다. 삼국지에서 유래한 이 사자성어는 "뼈와 살이 서로 다툰다"는 뜻으로 피를 나눈 혈족끼리 서로 해침을 말하며, 베트남어로 된 풀이는 "cùng chung huyết thống tàn hại lẫn nhau" 입니다. 사자성어 cốt nhục tương tàn 꼿 뉵 뜨엉 딴 골 육 상 잔 뼈 骨 고기 肉 서로 相 해칠 殘 목차 4자 해부 사자성어 속 각 자의 풀이는 다음과 같습니다. 1. Cốt 골 骨 ∨ 첫 번째 자인 cốt은 첫소리 c와 {ôt}이 결합한 자입니다. 한자음 해부도 첫소리 나머지소리 한자음 c .. 2022. 11. 17.
쮜엔 호아 비 푹, 화를 복으로 쮜엔 호아 비 푹 소개 한국에서처럼 널리 쓰이지는 않지만 베트남에서도 쓰이는 사자성어 중에는 이 있습니다. "화가 오히려 복이 되어 돌아온다"는 뜻을 가진 이 사자성어는 어떤 불행이라도 노력과 의지로 힘쓰면 행복으로 바꿀 수 있다는 의미로 쓰입니다. 베트남어로 된 풀이는 "chuyển họa thành phúc" 또는 "biến họa thành phúc"으로 한자 원음과 거의 같습니다. 사실 이 사자성어의 경우 베트남어로 된 풀이의 모든 자들이 한자음이거나 한자에서 비롯된 고유어들입니다. 사자성어 chuyển họa vi phúc 전 화 위 복 전 화 위 복 구를/돌릴 轉 재앙 禍 할 爲 복 福 목차 4자 해부 사자성어 속 각 자의 풀이는 다음과 같습니다. 1. chuyển 전 轉 ∨ 첫 번째 자인 c.. 2022. 11.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