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자음 대조/사자성어145

퀸 자 바이 산, 집은 기울고 돈은 없고 퀸 자 바이 산 소개 한국에서도 잘 쓰이지는 않지만 베트남에서도 그와 비슷한 빈도로 쓰이는 사자성어 중에는 이 있습니다. "재산이 동나고 집은 형편없이 기울어지다"는 뜻을 가진 이 사자성어의 베트남어로 된 풀이는 "của cải tiêu tan, nhà cửa nghiêng ngửa" 입니다. 경가파산(傾家破産)이라고 쓰는 한국과 달리 베트남은 경가패산을 씁니다. 사자성어 khuynh gia bại sản 퀸 자 바이 산 경 가 패 산 기울 傾 집 家 패할 敗 낳을 産 목차 4자 해부 사자성어 속 각 자의 풀이는 다음과 같습니다. 1. khuynh 경 傾 첫 번째 자인 khuynh은 첫소리 kh에 나머지소리 {uynh}이 결합한 자입니다. 한자음 해부도 첫소리 나머지소리 한자음 kh + uynh = kh.. 2022. 12. 13.
낀 티엔 동 디어, 하늘이 놀랄 일 낀 티엔 동 디어 소개 한국에서 쓰이는만큼 베트남에서도 쓰이는 사자성어 중에는 가 있습니다. "하늘이 놀라고 땅이 뒤흔들린다"는 뜻을 가진 이 사자성어는 세상을 깜짝 놀라게 했다는 표현으로 주로 인용되며, 베트남어로 된 풀이는 "long trời lở đất" (tức là một sự việc nào đó có tác động rất lớn)입니다. 사자성어 kinh thiên động địa 낀 티엔 동 디어 경 천 동 지 놀랄 驚 하늘 天 움직일 動 땅 地 목차 4자 해부 사자성어 속 각 자의 풀이는 다음과 같습니다. 1. kinh 경 驚 ∨ 첫 번째 자인 kinh은 첫소리 k에 나머지소리 {inh}이 결합한 자입니다. 한자음 해부도 첫소리 나머지소리 한자음 k + inh = kinh ㄲ 인 낀 ㄱ.. 2022. 12. 12.
낌 찌 응옥 지엡, 금이야 옥이야 낌 찌 응옥 지엡 소개 한국에서만큼 알려지지는 않지만 베트남에서도 쓰이는 사자성어 중에는 이 있습니다. "금 가지에 옥 잎사귀"라는 뜻을 가진 이 사자성어는 한때는 임금의 자손을 일컫는 말이었지만 현재는 뉘집 자식이 됐든간에 "귀한 집 자식"이라는 비유로 사용되며, 베트남어로 된 풀이는 "cành vàng lá ngọc; tức là con nhà quyền quý" 입니다. 사자성어 kim chi ngọc diệp 낌 찌 응옥 지엡 금 지 옥 엽 쇠 金 가지 枝 구슬 玉 나뭇잎 葉 목차 4자 해부 사자성어 속 각 자의 풀이는 다음과 같습니다. 1. kim 금 金 ∨ 첫 번째 자인 kim은 첫소리 k과 나머지소리 {im}이 결합한 자입니다. 한자음 해부도 첫소리 나머지소리 한자음 k + im = kim .. 2022. 12. 10.
코 떤 깜 라이, 끝내 이루리라 코 떤 깜 라이 소개 한국에서처럼 많이 알려지지는 않지만 베트남에서도 쓰이는 사자성어 중에는 가 있습니다. "쓴 것 끝에는 단 것이 온다"는 뜻을 가진 이 고사성어는 우리말 속담으로 "고생 끝에 낙이 온다"에 해당합니다. 베트남어로 된 풀이는 "hết đắng đến ngọt, hết cực đến sướng" 입니다. 사자성어 khổ tận cam lai 코 떤 깜 라이 고 진 감 래 쓸 苦 다할 盡 달 甘 올 來 목차 4자 해부 사자성어 속 각 자의 풀이는 다음과 같습니다. 1. khổ 고 苦 ∨ 첫 번째 자인 khổ는 첫소리 kh에 나머지소리 {ô}가 결합한 자입니다. 한자음 해부도 첫소리 나머지소리 한자음 kh + ô = khổ 코 코 코 고 고 고 발음 유사도 (표기법 기준) 베트남 한자음 kh.. 2022. 12. 9.
독 녓 보 니, 원 앤 온리 독 녓 보 니 소개 한국에 가 있다면 베트남에는 가 있습니다. "오직 하나 뿐이고 둘도 없다"는 뜻을 가진 이 사자성어는 우리나라에서 많이 쓰는 와 의미가 동일하며 첫번째 자 하나만 다를 뿐입니다. 베트남어로 된 풀이는 "chỉ có một mà không có hai; có một không hai" 입니다. 사자성어 độc nhất vô nhị 독 녓 보 니 독 일 무 이 홀로 獨 하나 一 없을 無 두 二 목차 4자 해부 사자성어 속 각 자의 풀이는 다음과 같습니다. 1. độc 독 獨 ∨ 첫 번째 자인 độc은 첫소리 đ에 나머지소리 {ôc}이 결합한 자입니다. 한자음 해부도 첫소리 나머지소리 한자음 đ + ôc = độc ㄷ 옥 독 ㄷ, ㅈ 옥 독 발음 유사도 (표기법 기준) 베트남 한자음 độc.. 2022. 12. 8.
흐우 잔 보 텃, 이런 개살구 흐우 잔 보 텃 소개 베트남에서도 거의 한국에서만큼 쓰이는 사자성어 중에는 이 있습니다. "이름만 그럴듯하고 실속은 없다"는 뜻을 가진 이 사자성어는 삼국지에서 유래했다고 하며, 껍데기는 화려하지만 알맹이는 없다고 비판할 때 자주 인용됩니다. 우리말 속담으로는 "빛 좋은 개살구"가 되겠습니다. 베트남어로 된 풀이는 "có danh mà không có thực; có trên danh nghĩa nhưng thực chất thì chẳng có gì" 입니다. 사자성어 hữu danh vô thật / thực 흐우 잔 보 텃/특 유 명 무 실 있을 有 이름 名 없을 無 열매 實 목차 4자 해부 사자성어 속 각 자의 풀이는 다음과 같습니다. 1. hữu 유 有 ∨ 첫 번째 자인 hữu는 첫소리 h에 나.. 2022. 12. 5.
동 코 동 락 한 사이 동 코 동 락 소개 한국에서처럼 쓰이지는 않지만 베트남에서도 들으면 바로 이해 가능한 사자성어로 이 있습니다. "괴로움도 즐거움도 함께 한다"는 뜻을 가진 이 사자성어는 흔히 힘든 시기를 함께 견뎌냈다고 말할 때 주로 인용되며, 베트남어로 된 풀이는 "cùng chia sẻ sự vui và khổ" 입니다. 사자성어 đồng khổ đồng lạc 동 코 동 락 동 고 동 락 한가지 同 쓸 苦 한가지 同 즐거울 樂 단 비슷한 의미의 성어로 베트남에서는 를 많이 사용하며, 위의 동고동락과는 2자가 겹칩니다. 사자성어 đồng cam cộng khổ 동 깜 꽁 코 동 감 공 고 한가지 同 달 甘 한가지 共 쓸 苦 괴로움과 즐거움 대신 달고 씀이라는 비유를 써서 "달고 쓴 것을 함께 한다"는 뜻을 가졌으며,.. 2022. 12. 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