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4

[수상한-자] 어떤 "찐 따" 테스트 수상한-자(字)한국어로는 한자어라는걸 확신하는데 비슷한 발음의 베트남어가 한자어인지 확신이 서지 않을 때가 있습니다. 또는 반대로 베트남어의 모양새를 봤을 때 한자어라는걸 짐작할수 있지만 한국 한자어로는 엉뚱한 풀이가 되어 당황할 때가 있습니다. 베트남과 한국은 오랜 세월 같은 한자의 영향을 받았으니 대부분 비슷한 구성의 한자어를 사용할 것이고 발음마저 비슷할 확률이 높습니다. 그렇다보니 발음의 유사성만 보고 특정 한자어라고 단정짓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고는 합니다. 아래 소개할 chính tả도 그중 하나입니다. 그럴싸한 단서오늘의 수상한 자와 그 발음을 살펴보겠습니다.수상한자(字)chínhtả수상한 자찐따[ 발음표기 ] chính tả는 한국어로 [찐 따]라고 표기합니다. 표기와 실제 발음은 다를.. 2025. 6. 6.
[수상한-자] 좀 마이 취하는 "마 뛰" 수상한-자(字) 한국어로는 한자어라는걸 확신하는데 비슷한 발음의 베트남어가 한자어인지 확신이 서지 않을 때가 있습니다. 또는 반대로 베트남어의 모양새를 봤을 때 한자어라는걸 짐작할수 있지만 한국 한자어로는 엉뚱한 풀이가 되어 당황할 때가 있습니다. 베트남과 한국은 오랜 세월 같은 한자의 영향을 받았으니 대부분 비슷한 구성의 한자어를 사용할 것이고 발음마저 비슷할 확률이 높습니다. 그렇다보니 발음의 유사성만 보고 특정 한자어라고 단정짓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고는 합니다. 아래 소개할 ma tuý도 그중 하나입니다. 그럴싸한 단서 오늘의 수상한 자와 그 발음을 살펴보겠습니다. 수상한자(字) ma tuý 수상한 자 마 뛰 [ 발음표기 ] ma tuý는 한국어로 [마 뛰]라고 표기합니다. 표기와 실제 발음은 다를.. 2023. 8. 21.
나머지소리 {a}는 {아} {a}는 {아/야} 나머지소리 시리즈를 시작합니다. 첫 주자는 한국어로도 [아]라고 표기하고 발음하는 나머지소리 {a}입니다. 나머지소리 {a}가 포함된 베트남 한자음은 어림잡아 약 350개가 있으며, 이중 대부분이 한국 한자음으로 {아/야}가 됩니다. 그 다음으로 비율에 상당한 격차를 두고 한국 한자음 속 {애}가 되고, 그 다음에 {와} 등으로 이어집니다. 나머지소리 중심 첫소리 + 나머지소리 = 한자어 a { 아/야 } 음의 비율 % 아/야 애 와 .. 나머지소리 {a}로 이뤄진 베트남 한자음 약 350개를 한국 한자음으로 풀이하면 {아/야}가 약 95%로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합니다. 그 다음으로 {애}가 약 1.5% 를 차지하고 있으며 {와} 등으로도 풀이됩니다. 이따금 한국 한자음으로 생뚱맞은 .. 2023. 6. 21.
집 gia 가 베트남 한자음 gia 소개알파벳 gi로 시작하는 한자 중에서도 널리 쓰이고 흔히 볼수 있는 자로 집 家자의 베트남 음인 gia를 들 수 있습니다. 한자음gia家가베트남 한자음한자한국 한자음 목차 한자음 해부도베트남 한자음 gia는 첫소리 자음 gi와 나머지소리 {a}의 조합으로 구성된 자입니다.한자음 해부도첫소리 나머지소리 한자음gi+a=giaㅈ아자 발음 유사도 (표기법 기준)베트남 한자음 gia은 한국어로 [자] (남부: 야)라고 표기하며, 한국 한자음 와는 첫소리의 발음이 다르고 나머지소리의 발음은 같습니다. 자세한 발음에 관한 설명은 아래 페이지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베트남어의 모음 바로가기 베트남어의 자음 바로가기 동음이의어 (성조 무관)집 家자와 발음은 같으나 다른 뜻을 가진 gia 자들도.. 2022. 11.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