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T8 보 서 벗 비의 권력을 휘두르다 보 서 벗 비 소개 한국에서처럼 널리 쓰이지는 않지만 베트남에도 존재하는 사자성어 중에 가 있습니다. "못할 일이 없이 다 하다"는 뜻을 가진 이 고사성어는 사마천의 사기에서 유래한 말이라고 하며, 베트남어로 된 풀이는 "không gì mà không dám làm; vô liêm sỉ" 입니다. 사자성어 vô sở bất vi 보 서 벗 비 무 소 불 위 없을 無 바 所 아니 不 할 爲 목차 4자 해부 사자성어 속 각 자의 풀이는 다음과 같습니다. 1. vô 무 無 ∨ 첫 번째 자인 vô는 첫소리 v에 나머지소리 {ô}가 결합한 자입니다. 한자음 해부도 첫소리 나머지소리 한자음 v + ô = vô ㅂ 오 보 ㅇ, ㅁ 오 무 발음 유사도 (표기법 기준) 베트남 한자음 vô는 한국어로 [보]라고 표기하며.. 2023. 4. 9. 반 벗 자 디엠, 만점짜리 명문 반 벗 자 디엠 소개 많이 인용되지는 않아도 한국과 베트남에 모두 있는 사자성어 중에 이 있습니다. "점 하나 찍을 곳 없이 잘 쓴 글"이라는 뜻을 가진 이 사자성어의 베트남어로 된 풀이는 "văn hay không sửa chữa được; văn không gia điểm" 입니다. 사자성어 văn bất gia điểm 반 벗 자 디엠 문 불 가 점 글월 文 아니 不 더할 加 점 點 목차 4자 해부 사자성어 속 각 자의 풀이는 다음과 같습니다. 1. văn 문 文 ∨ 첫 번째 자인 văn은 첫소리 v에 나머지소리 {ăn}이 결합한 자입니다. 한자음 해부도 첫소리 나머지소리 한자음 v + ăn = văn ㅂ 안 반 ㅇ, ㅁ 운, 인 문 발음 유사도 (표기법 기준) 베트남 한자음 văn은 한국어로 [반.. 2023. 3. 29. 텃 디엔 밧 다오, 일곱번 넘어지고 여덟번 구르다 텃 디엔 밧 다오 소개 우리가 흔히 쓰는 사자성어 중 칠전팔기는 베트남어 성어사전에는 존재하지 않지만 그대신 딱 한 자 차이로 매우 유사해 보이는 가 있습니다. 다만 그 다른 한 자가 결말을 바꾸어서 우리가 아는 칠전팔기가 "일곱번 넘어지고 여덟번 일어난다"로 매우 희망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면 칠전팔도는 "일곱 번 구르고 여덟 번 넘어진다"는 뜻으로 수많은 실패를 거듭하고 몹시 고생함을 이르는 말이라고 하며(아직 못 일어난 열린 결말), 베트남어로 된 풀이는 "bảy ngã tám nhào" 입니다. 또 한가지 유의할 점은 베트남어에서는 이 사자성어가 실제 구르고 엎어지는 행동과 모양을 가리킴으로써 혼비백산에 가까운 의미로도 활용된다는 점입니다. 사자성어 thất điên bát đảo 텃 디엔 밧 다오.. 2023. 3. 23. 쯔엉 신 벗 라오, 인류의 오랜 꿈 쯔엉 신 벗 라오 소개 한국에서만큼 베트남에서도 많이 알려진 사자성어 중에는 가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보통 불로장생이라고 하지만 뜻은 같으며, 그밖에도 좀 많이 나간 장생불사도 있습니다. "늙지 않고 오래 산다"는 뜻을 가진 이 사자성어는 진시황 하면 떠오르는 말 중 하나이며, 베트남어로 된 풀이는 "sống trẻ mãi không già" 입니다. 사자성어 trường sinh bất lão 쯔엉 신 벗 라오 장 생 불 로 길 長 날 生 아니 不 늙을 老 목차 4자 해부 사자성어 속 각 자의 풀이는 다음과 같습니다. 1. trường 장 長 ∨ 첫 번째 자인 trường은 첫소리 tr에 나머지소리 {ương}이 결합한 자입니다. 한자음 해부도 첫소리 나머지소리 한자음 tr + ương = trườ.. 2023. 2. 26. 꽈 묵 벗 봉, 한번 봐도 놓치지 않는 매의 눈 꽈 묵 벗 봉 소개 활용도는 떨어져도 한국과 베트남에 모두 있는 사자성어 중에는 또한 이 있습니다. "한번 본 것은 잊지 않는다"는 뜻을 가진 이 사자성어는 삼국지에서 유래했다고 하며, 베트남어로 된 풀이는 "đã nhìn qua một lần là không bao giờ quên" 입니다. 사자성어 quá mục bất vong 꽈 묵 벗 봉 과 목 불 망 지날 過 눈 目 아니 不 잊을 忘 목차 4자 해부 사자성어 속 각 자의 풀이는 다음과 같습니다. 1. quá 과 過 ∨ 첫 번째 자인 quá는 첫소리 q에 나머지소리 {ua}가 결합한 자입니다. 한자음 해부도 첫소리 나머지소리 한자음 q + ua = quá ㄲ 우아 꽈 ㄱ 와 과 발음 유사도 (표기법 기준) 베트남 한자음 quá는 한국어로 [꽈]라.. 2023. 1. 8. 꽈 몬 벗 녑, 방앗간도 지나치다 꽈 몬 벗 녑 소개 참새가 방앗간을 지나치지 않는다는 속담이 있지만 바쁘면 참새도 어쩔수 없습니다. 흔히 볼수는 없지만 한국과 베트남에 모두 있는 사자성어 중 이 있습니다. "집 앞을 지나면서도 들르지 않는다"는 뜻을 가진 이 사자성어는 공무에 바쁜 나머지 아는 집도 잠깐 들르지 못하고 그냥 지나칠수 밖에 없다는 비유로 쓰인다고 하며, 베트남어로 된 풀이는 "đi ngang qua cửa nhà mình mà không ghé vào; làm việc công, không nghĩ đến việc nhà" 입니다. 이처럼 한국어 풀이는 "아는 사람의 집"이지만 베트남어 풀이는 "본인 집"이라고 해석하였습니다. 사자성어 quá môn bất nhập 꽈 몬 벗 녑 과 문 불 입 지날 過 문 門 아니 不 들.. 2023. 1. 7. 잔 벗 흐 쮜엔, 클래스는 영원하다 잔 벗 흐 쮜엔 소개 한국에서처럼 쓰이지는 않지만 베트남에서도 다수가 뜻을 아는 사자성어 중에는 이 있습니다. "명성이 헛되이 전해지지 않았다", 즉 듣던대로 이름값을 한다는 표현을 할 때 사용하며, 베트남어로 된 풀이는 "danh tiếng truyền đi đúng với sự thật" 입니다. 사자성어 danh bất hư truyền 잔 벗 흐 쮜엔 명 불 허 전 이름 名 아닐 不 빌 虛 전할 傳 목차 4자 해부 사자성어 속 각 자의 풀이는 다음과 같습니다. 1. danh 명 名 ∨ 첫 번째 자인 danh은 첫소리 d에 나머지소리 {anh}이 결합한 자입니다. 한자음 해부도 첫소리 나머지소리 한자음 d + anh = danh ㅈ 안 잔 ㅇ, ㅁ 엉/영, 앵 명 발음 유사도 (표기법 기준) 베트남.. 2022. 11. 21.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