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자음 대조/사자성어

번 카이 끼엔 녓, 구름이 열리고 해가 드러나다

2023. 3. 30.

 

번 카이 끼엔 녓 소개

아무도 쓰지 않아도 한국과 베트남 양국에 모두 존재하는 사자성어 중에는 <운개견일 vân khai kiến nhật 雲開見日>이 있습니다. 

 

"구름이 걷혀 해를 보게 된다"는 겉뜻을 가진 이 사자성어는 오랜 시간 감춰졌던 사실이 드러남을 이르는 말이라고 하며, 베트남어로 된 풀이는 "mai tan thấy mặt trời; tìm ra những bí mật che giấu" 입니다.

 

사자성어
vân khai kiến nhật
카이 끼엔
구름 雲 열 開 볼 見 날 日

 

 

4자 해부

사자성어 <vân khai kiến nhật 운개견일> 속 각 자의 풀이는 다음과 같습니다.

 

1. vân 운 雲

첫 번째 자인 vân은 첫소리 v에 나머지소리 {ân}이 결합한 자입니다.

한자음 해부도
첫소리   나머지소리   한자음
v + ân = vân
ㅇ, ㅁ 인, 은, 운 

 

발음 유사도 (표기법 기준)

베트남 한자음 vân은 한국어로 [번]이라고 표기하며, 한국 한자음 <운>와는 첫소리의 발음이 다르고 나머지소리의 발음은 유사한 편입니다. 

 

한자음 풀이

베트남 한자음 vân의 첫소리 v는 과반의 비율로 한국 한자음의 [ㅇ]이 되며, 나머지소리 {ân} 역시 과반의 비율로 한국 한자음 속 {인}이 되고 그 다음에 {은}{운} 순으로 이어집니다. 

 

꼬리에 꼬리를 무는 단어장

해당 한자가 포함된 대표적인 단어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어장
베트남어 발음 한자 한국어
vân vũ 번 부 雲雨 운우 
"구름과 비"

 

 

 

2. khai 개 開

두 번째 자 khai는 첫소리 kh에 나머지소리 {ai}가 결합한 자입니다.

한자음 해부도
첫소리   나머지소리   한자음
kh + ai = khai
아이 카이

 

발음 유사도 (표기법 기준)

베트남 한자음 khai는 한국어로 [카이]라고 표기하며, 한국 한자음 <개>와는 첫소리의 발음이 비슷하고 나머지소리의 발음도 풀어쓴듯 유사합니다. 

 

자세한 설명은 앞서 작성된 한자음 <열 khai> 페이지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열 khai

베트남 한자음 khai 소개 알파벳 kh로 시작하는 한자 중에서도 널리 쓰이고 흔히 볼수 있는 자로 열 開자의 베트남 음인 khai를 들 수 있습니다. 한자음 khai 開 개 베트남 한자음 한자 한국 한자음

kokovi.com

 

 

 

3. kiến 견 見

세 번째 자 kiến는 첫소리 k에 나머지소리 {iên}이 결합한 자입니다.

한자음 해부도
첫소리   나머지소리   한자음
k + iên = kiến
이엔 끼엔
언, 연

 

발음 유사도 (표기법 기준)

베트남 한자음 kiến은 한국어로 [끼엔]이라고 표기하며, 한국 한자음 <견>과는 첫소리의 발음이 유사하고 나머지소리의 발음 역시 풀어쓴듯 유사합니다.

 

 

한자음 풀이

베트남 한자음 kiến의 첫소리 k는 압도적 비율로 한국 한자음의 [ㄱ]이 되며, 나머지소리 {iên}은 역시 과반의 비율로 한국 한자음 속 {언}이 되고 그 다음에 {연}이 됩니다.

 

꼬리에 꼬리를 무는 단어장

해당 한자가 포함된 대표적인 단어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어장
베트남어 발음 한자 한국어
chứng kiến 쯩 끼엔 證見 증견
"목격"의 의미
dự kiến 즈 끼엔 預見 예견
định kiến 딘 끼엔 定見 정견
"선입견"의 의미
ý kiến 이 끼엔 意見 의견

 

 

 

4. nhật 일 日

네 번째 자 nhật은 첫소리 nh에 나머지소리 {ât}이 결합한 자입니다.

한자음 해부도
첫소리   나머지소리   한자음
nh + ât = nhật
ㄴ(ㅣ)
일, 울, 을

 

발음 유사도 (표기법 기준)

베트남 한자음 nhật은 한국어로 [녓]이라고 표기하며, 한국 한자음 <일>과는 첫소리와 나머지소리의 발음이 모두 다릅니다. 

 

자세한 설명은 앞서 포스팅한 <청천백일> 페이지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탄 티엔 밧 녓, 훤한 대낮에 이 무슨

탄 티엔 밧 녓 소개 한국과 베트남에 공통적으로 존재하고 한국보다 베트남에서 조금 더 많이 쓰이는 사자성어 중에는 이 있습니다. "환하게 밝은 대낮"을 뜻하는 이 사자성어는 맑게 개인 날처

kokovi.com

 

꼬리에 꼬리를 무는 단어장

같은 자 혹은 철자만 같은 자를 다룬 포스트는 아래 링크에서 더 확인할 수 있습니다.

더보기   천하제일, 구사일생, 일거양득, ...

 

 

 

활용도

활용도가 높은 자들로 구성돼있지만 해당 사자성어 자체는 한국에서도 베트남에서도 거의 인용되지 않습니다.

 

드러나는 해
출처: Unsplash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