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51

잔 벗 흐 쮜엔, 클래스는 영원하다 잔 벗 흐 쮜엔 소개 한국에서처럼 쓰이지는 않지만 베트남에서도 다수가 뜻을 아는 사자성어 중에는 이 있습니다. "명성이 헛되이 전해지지 않았다", 즉 듣던대로 이름값을 한다는 표현을 할 때 사용하며, 베트남어로 된 풀이는 "danh tiếng truyền đi đúng với sự thật" 입니다. 사자성어 danh bất hư truyền 잔 벗 흐 쮜엔 명 불 허 전 이름 名 아닐 不 빌 虛 전할 傳 목차 4자 해부 사자성어 속 각 자의 풀이는 다음과 같습니다. 1. danh 명 名 ∨ 첫 번째 자인 danh은 첫소리 d에 나머지소리 {anh}이 결합한 자입니다. 한자음 해부도 첫소리 나머지소리 한자음 d + anh = danh ㅈ 안 잔 ㅇ, ㅁ 엉/영, 앵 명 발음 유사도 (표기법 기준) 베트남.. 2022. 11. 21.
될 hoá 화 베트남 한자음 hoá 소개알파벳 h로 시작하는 한자 중에서도 널리 쓰이고 흔히 볼수 있는 자로 될 化자의 베트남 음인 hoá를 들 수 있습니다.한국 한자음과 발음도 같지만 활용도도 같다고 하겠습니다. 한자음hoá化화베트남 한자음한자한국 한자음 목차 한자음 해부도베트남 한자음 hoá는 첫소리 자음 h와 나머지소리 {oa}의 조합으로 구성된 자입니다.한자음 해부도첫소리 나머지소리 한자음h+oa=hoáㅎ오아호아 발음 유사도 (표기법 기준)베트남 한자음 hoá는 한국어로 [호아]라고 표기하며, 한국 한자음 와는 첫소리의 발음이 같고 나머지소리는 길이의 차이만 있을뿐 거의 같습니다. 자세한 발음에 관한 설명은 아래 페이지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베트남어의 모음 바로가기 베트남어의 자음 바로가기 동음이의어 (성.. 2022. 11. 21.
죽 똑 벗 닷, 급할수록 돌아가라 죽 똑 벗 닷 소개 한국보다 베트남에서 더 흔히 쓰이는 사자성어 중에는 이 있습니다. 네 자 모두첫소리부터 끝소리까지 빈틈 없이 채워져서 발음이 어렵습니다. "일을 빨리 하려고 서두르면 도리어 이루지 못한다"는 뜻을 가진 이 사자성어는 논어에 등장하는 공자의 말이라고 하며, 베트남어로 된 풀이는 "muốn làm nhanh chóng thì sẽ không đạt được" 입니다. 사자성어 dục tốc bất đạt 죽 똑 벗 닷 욕 속 부 달 하고자 할 欲 빠를 速 아니 不 통할 達 목차 4자 해부 사자성어 속 각 자의 풀이는 다음과 같습니다. 1. dục 욕 欲 첫 번째 자인 dục은 첫소리 d에 나머지소리 {uc}이 결합한 자입니다. 한자음 해부도 첫소리 나머지소리 한자음 d + uc = dục.. 2022. 11. 20.
꽁 민 찐 쯕, 부재의 시대 꽁 민 찐 쯕 소개 한국에서 를 쓰듯 베트남에서는 비슷한 사자성어인 을 씁니다. "하는 일이나 태도가 사사로움 없이 정당하고 올곧다"는 뜻을 가진 이 고사성어의 베트남어로 된 풀이는 "công bằng thẳng thắn, không có tư tưởng ích kỷ" 입니다. 사자성어 công minh chính trực 꽁 민 찐 쯕 공 명 정 직 공평할 公 밝을 明 바를 正 곧을 直 목차 4자 해부 사자성어 속 각 자의 풀이는 다음과 같습니다. 1. công 공 公 ∨ 첫 번째 자인 công은 첫소리 c에 나머지소리 {ông}이 결합한 자입니다. 한자음 해부도 첫소리 나머지소리 한자음 c + ông = công ㄲ 옹 꽁 ㄱ 옹 공 발음 유사도 (표기법 기준) 베트남 한자음 công은 한국어로 [꽁.. 2022. 11. 19.
집 gia 가 베트남 한자음 gia 소개알파벳 gi로 시작하는 한자 중에서도 널리 쓰이고 흔히 볼수 있는 자로 집 家자의 베트남 음인 gia를 들 수 있습니다. 한자음gia家가베트남 한자음한자한국 한자음 목차 한자음 해부도베트남 한자음 gia는 첫소리 자음 gi와 나머지소리 {a}의 조합으로 구성된 자입니다.한자음 해부도첫소리 나머지소리 한자음gi+a=giaㅈ아자 발음 유사도 (표기법 기준)베트남 한자음 gia은 한국어로 [자] (남부: 야)라고 표기하며, 한국 한자음 와는 첫소리의 발음이 다르고 나머지소리의 발음은 같습니다. 자세한 발음에 관한 설명은 아래 페이지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베트남어의 모음 바로가기 베트남어의 자음 바로가기 동음이의어 (성조 무관)집 家자와 발음은 같으나 다른 뜻을 가진 gia 자들도.. 2022. 11. 18.
꼿 뉵 뜨엉 딴의 비극 꼿 뉵 뜨엉 딴 소개 자음 c로 시작하는 사자성어 중 한국과 베트남 모두에서 나름 알려진 사자성어로는 이 있습니다. 베트남 발음이 쌍기역, 쌍디귿 등 된소리 범벅이어서 듣기만 해도 세게 들립니다. 삼국지에서 유래한 이 사자성어는 "뼈와 살이 서로 다툰다"는 뜻으로 피를 나눈 혈족끼리 서로 해침을 말하며, 베트남어로 된 풀이는 "cùng chung huyết thống tàn hại lẫn nhau" 입니다. 사자성어 cốt nhục tương tàn 꼿 뉵 뜨엉 딴 골 육 상 잔 뼈 骨 고기 肉 서로 相 해칠 殘 목차 4자 해부 사자성어 속 각 자의 풀이는 다음과 같습니다. 1. Cốt 골 骨 ∨ 첫 번째 자인 cốt은 첫소리 c와 {ôt}이 결합한 자입니다. 한자음 해부도 첫소리 나머지소리 한자음 c .. 2022. 11. 17.
베트남어 성조의 표시방식 총정리(중급) 앞서 성조 편에서 베트남어의 성조는 음절 속 주음에 표시하고, 그 주음은 끝소리 바로 앞에 위치한 모음이라고 하였습니다. 해당 포스트의 내용은 여전히 유효하지만 구체적인 예가 없었는데, 현재는 표시방식을 두 가지로 확실하게 구분하면서 전에는 누락되거나 일관성 없던 내용들이 각각의 규칙들과 함께 재정립 되었기에 아래 보충설명합니다. 목차 베트남어 성조의 표시방식들과 유일한 차이 현재 베트남어의 성조 표시방식은 두 가지가 있고 각각 "예전 방식"과 "새로운 방식"이라고 부릅니다. 음절 속 모음이 하나뿐일 때에는 그 모음에 성조를 표시하지만 모음이 2개 이상일 때는 어디에 표시할지 명확하지 않을 수 있고 바로 그 부분을 정리한 것입니다. 두 가지 방식 모두 음절의 주음에 성조를 표시한다는 원칙에는 차이가 없으.. 2022. 11.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