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한자음190 보 쭝 신 흐우, 무에서 유가 생겨나다 보 쭝 신 흐우 소개 한국에서처럼 널리 쓰이지는 않지만 베트남에서도 쓰이는 사자성어 중에는 이 있습니다. "우주 만물은 무에서 생겨난다"는 뜻을 가진 이 사자성어는 첫번째 뜻 외에도 "없는 일을 지어내 말썽을 일으킨다"는 뜻으로도 쓰입니다.본래 노자의 도덕경에서 유래했지만 손자병법(Binh Pháp Tôn Tử) 속 적전계의 일부로 잘 알려져 있으며, 베트남어로 된 풀이는 "trong không mà sinh có; khi không mà sinh việc" 입니다. 사자성어 vô trung sinh hữu 보 쭝 신 흐우 무 중 생 유 없을 無 가운데 中 날 生 있을 有 목차 4자 해부 사자성어 속 각 자의 풀이는 다음과 같습니다. 1. vô 무 無 ∨ 첫 번째 자인 vô는 첫소리 v에 나머지소리 {ô.. 2023. 4. 7. 반 보 끼엠 또안, 학문과 무예가 모두 뛰어나다 반 보 끼엠 또안 소개 한국에서 문무겸비(文武兼備)를 쓴다면 베트남에서는 이라고 합니다. 또한 같은 뜻으로 딱 한 자가 다른 도 있습니다. "학문과 무예가 모두 뛰어나다"는 뜻을 가진 이 사자성어는 글자 그대로의 뜻도 가지고 있지만 한 가지 이상의 방면에서 동시에 뛰어남을 이르는 말이기도 하며, 베트남어로 된 풀이는 "giỏi cả văn lẫn võ 입니다. 사자성어 văn võ kiêm toàn 반 보 끼엠 또안 문 무 겸 전 글월 文 호반 武 겸할 兼 온전할 全 한 자가 다른 문무쌍전은 다음과 같습니다. 사자성어 văn võ song toàn 반 보 송 또안 문 무 쌍 전 글월 文 호반 武 쌍 雙 온전할 全 목차 4자 해부 사자성어 속 각 자의 풀이는 다음과 같습니다. 1. văn 문 文 ∨ 첫 번.. 2023. 4. 5. 보 띠엔 코앙 허우, 전에도 없고 앞으로도 없다 보 띠엔 코앙 허우 소개 한국에서 전무후무를 쓴다면 베트남에서는 를 씁니다. 사실 이 사자성어는 중국에서 쓰는 공전광후(空前曠後)의 공 자와 없을 무 자를 동일시한 실수에서 출발한 과잉정정의 결과라고 하며 결과적으로 베트남에만 있는 사자성어라고 합니다. [관련링크: Thanh Nien] "전에도 없었고 앞으로도 없다"는 뜻을 가진 이 사자성어의 베트남어로 된 풀이는 "chưa từng có trong quá khứ và cũng sẽ không có trong tương lai" 입니다. 사자성어 vô tiền khoáng hậu 보 띠엔 코앙 허우 무 전 광 후 없을 無 앞 前 밝을 曠 뒤 後 목차 4자 해부 사자성어 속 각 자의 풀이는 다음과 같습니다. 1. vô 무 無 첫 번째 자인 vô는 첫소리 .. 2023. 4. 3. 반 녓 찌 텁, 하나를 듣고 열을 깨우친다 반 녓 찌 텁 소개 한국과 베트남 양국에 모두 존재하는 사자성어 중에는 또한 이 있습니다. "한 가지를 듣고 열 가지를 미루어 안다"는 뜻을 가진 이 사자성어는 매우 총명함을 이르는 말로 논어에서 유래했다고 하며, 베트남어로 된 풀이는 "nghe một biết mười" 입니다. 사자성어 văn nhất tri thập 반 녓 찌 텁 문 일 지 십 들을 聞 한 一 알 知 열 十 목차 4자 해부 사자성어 속 각 자의 풀이는 다음과 같습니다. 1. văn 문 聞 첫 번째 자인 văn은 첫소리 v에 나머지소리 {ăn}이 결합한 자입니다. 한자음 해부도 첫소리 나머지소리 한자음 v + ăn = văn ㅂ 안 반 ㅇ, ㅁ 운, 인 문 발음 유사도 (표기법 기준) 베트남 한자음 văn은 한국어로 [반]이라고 표기.. 2023. 4. 1. 날 xuất 출 베트남 한자음 xuất 소개알파벳 x로 시작하는 많지 않은 한자 중에서도 특히 활용도가 높은 자로 날 出자의 베트남 음인 xuất을 들 수 있습니다. 한자xuất出출베트남 한자음한자한국 한자음 목차 한자음 해부도베트남 한자음 xuất은 첫소리 자음 x와 나머지소리 {uât}의 조합으로 구성된 자입니다.한자음 해부도첫소리 나머지소리 한자음x+uât=xuấtㅆ우엇쑤엇 발음 유사도 (표기법 기준)베트남 한자음 xuất은 한국어로 [쑤엇]이라고 표기하며, 한국 한자음 과 첫소리와 나머지소리의 발음이 모두 다릅니다. 자세한 발음에 관한 설명은 아래 페이지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베트남어의 모음 바로가기 베트남어의 자음 바로가기 동음이의어 (성조 무관)날 出자와 발음은 같으나 다른 뜻을 가진 xuất 자는 겨우 .. 2023. 3. 31. 번 카이 끼엔 녓, 구름이 열리고 해가 드러나다 번 카이 끼엔 녓 소개 아무도 쓰지 않아도 한국과 베트남 양국에 모두 존재하는 사자성어 중에는 이 있습니다. "구름이 걷혀 해를 보게 된다"는 겉뜻을 가진 이 사자성어는 오랜 시간 감춰졌던 사실이 드러남을 이르는 말이라고 하며, 베트남어로 된 풀이는 "mai tan thấy mặt trời; tìm ra những bí mật che giấu" 입니다. 사자성어 vân khai kiến nhật 번 카이 끼엔 녓 운 개 견 일 구름 雲 열 開 볼 見 날 日 목차 4자 해부 사자성어 속 각 자의 풀이는 다음과 같습니다. 1. vân 운 雲 ∨ 첫 번째 자인 vân은 첫소리 v에 나머지소리 {ân}이 결합한 자입니다. 한자음 해부도 첫소리 나머지소리 한자음 v + ân = vân ㅂ 언 번 ㅇ, ㅁ 인, 은.. 2023. 3. 30. 반 벗 자 디엠, 만점짜리 명문 반 벗 자 디엠 소개 많이 인용되지는 않아도 한국과 베트남에 모두 있는 사자성어 중에 이 있습니다. "점 하나 찍을 곳 없이 잘 쓴 글"이라는 뜻을 가진 이 사자성어의 베트남어로 된 풀이는 "văn hay không sửa chữa được; văn không gia điểm" 입니다. 사자성어 văn bất gia điểm 반 벗 자 디엠 문 불 가 점 글월 文 아니 不 더할 加 점 點 목차 4자 해부 사자성어 속 각 자의 풀이는 다음과 같습니다. 1. văn 문 文 ∨ 첫 번째 자인 văn은 첫소리 v에 나머지소리 {ăn}이 결합한 자입니다. 한자음 해부도 첫소리 나머지소리 한자음 v + ăn = văn ㅂ 안 반 ㅇ, ㅁ 운, 인 문 발음 유사도 (표기법 기준) 베트남 한자음 văn은 한국어로 [반.. 2023. 3. 29. 이전 1 ··· 7 8 9 10 11 12 13 ··· 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