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베트남 한자음190

띠엔 혹 레 허우 혹 반, 예부터 갖추고 학문을 쌓아라 띠엔 혹 레 허우 혹 반 소개 한국에서는 많이 인용되지 않지만 베트남에서는 거의 모든 학교에 걸려있을 정도로 많이 알려진 성어로 이 있습니다. 한국에서는 선례후학이라는 사자성어로 더 알려진 이 한자성어는 "먼저 예를 배우고 후에 학문을 익혀라"는 뜻을 가졌으며, 베트남어로 된 풀이는 "học lễ nghĩa trước, sau đó mới học kiến thức" 입니다. 사자성어 tiên học lễ 띠엔 혹 레 선 학 례 먼저 先 배울 學 예도 禮 사자성어 hậu học văn 허우 혹 반 후 학 문 뒤 後 배울 學 글월 文 목차 4자 해부 사자성어 속 각 자의 풀이는 다음과 같습니다. 1. tiên 선 先 ∨ 첫 번째 자인 tiên은 첫소리 t에 나머지소리 {iên}이 결합한 자입니다. 한자음 해.. 2023. 7. 31.
나머지소리 {ai}는 {애} {ai}는 {애} 오늘 다룰 나머지소리는 [아이]라고 표기하고 발음하는 나머지소리 {ai}입니다. 나머지소리 {ai}가 포함된 베트남 한자음은 어림잡아 약 270개가 있으며, 이중 대부분이 한국 한자음으로 {애}가 됩니다. 그 다음 순으로 큰 격차를 두고 한국 한자음으로 {아}가 되고 그 다음에 {이} 등으로 이어집니다. 나머지소리 중심 첫소리 + 나머지소리 = 한자어 ai { 애 } 음의 비율 % 애 아 이 .. 나머지소리 {ai}가 포함된 베트남 한자음 약 270개를 한국 한자음으로 풀이하면 {애}가 85%로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합니다. 그 다음으로 {아}가 약 4% 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가 약 3%, {예}가 약 2%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따금 한국 한자음으로 생뚱맞은 풀이가 되는 경우는 예외.. 2023. 7. 27.
무슨 빈 호아 푸 뀌를 누리겠다고 빈 호아 푸 뀌 소개 한국에서 흔히 쓰는 사자성어 중 부귀영화가 있습니다. 베트남에서는 구성하는 자들의 순서만 바뀐 를 더 많이 쓰는데, 참고로 중국에서는 이상 두 가지 버전이 모두 사용된다고 합니다. "많은 재산과 높은 지위로 누릴 수 있는 영광스럽고 호화로운 생활"이라는 뜻을 가진 이 고사성어의 베트남어로 된 풀이는 "giàu sang danh giá" 입니다. 사자성어 vinh hoa phú quý 빈 호아 푸 뀌 영 화 부 귀 영화 榮 빛날 華 가멸/부유할 富 귀할 貴 목차 4자 해부 사자성어 속 각 자의 풀이는 다음과 같습니다. 1. vinh 영 榮 ∨ 첫 번째 자인 vinh은 첫소리 v에 나머지소리 {inh}이 결합한 자입니다. 한자음 해부도 첫소리 나머지소리 한자음 v + inh = vinh.. 2023. 7. 23.
나머지소리 {ach}은 {액} {ach}은 {액} 오늘 다룰 나머지소리는 [앗]이라고 표기하고 발음하는 나머지소리 {ach}입니다. 나머지소리 {ach}이 포함된 베트남 한자음은 어림잡아 약 100개가 있으며, 이중 상당수가 한국 한자음으로 {액}이 됩니다. 그 다음 순으로 적지 않은 수가 한국 한자음으로 {억/역}이 되고 그 다음에 {악} 등으로 이어집니다. 나머지소리 중심 첫소리 + 나머지소리 = 한자어 ach { 액 } 끝소리 나머지소리 {ach} 중에서 끝소리 ch는 한국 한자음으로 대부분 [ㄱ] 받침이 됩니다. ✋ 잠깐! 성조결합의 제한 나머지소리 {ach}의 끝소리 ch는 파열음에 속하므로 올림조 á 또는 낙하조 ạ 이상 2개의 성조와만 결합할 수 있다는 제한이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성.. 2023. 7. 19.
타 프엉 꺼우 특, 서러운 타향살이 타 프엉 꺼우 특 소개 한국에서는 쓰이지 않지만 베트남에서는 잘 알려진 사자성어 중에 이 있습니다. "타지에서 먹을 것을 구한다"는 뜻을 가진 이 사자성어는 고향이 아닌 곳에서 생계를 영위함을 이르는 말이며, 베트남어로 된 풀이는 "xa quê hương mà kiếm ăn" 입니다. 사자성어 tha phương cầu thực 타 프엉 꺼우 특 타 방 구 식 다를 他 모 方 구할 求 밥 食 목차 4자 해부 사자성어 속 각 자의 풀이는 다음과 같습니다. 1. tha 타 他 ∨ 첫 번째 자인 tha는 첫소리 th에 나머지소리 {a}가 결합한 자입니다. 한자음 해부도 첫소리 나머지소리 한자음 th + a = tha ㅌ 아 타 ㅅ, ㅊ, ㅌ 아/야 타 발음 유사도 (표기법 기준) 베트남 한자음 tha는 한국어.. 2023. 7. 15.
배울 học 학 베트남 한자음 học 소개며칠 전까지 베트남에서는 한국으로 치면 수능시험에 해당하는 고등학교 졸업시험이 전국에서 실시되었습니다. 이같은 분위기에 맞춰 선정한 오늘의 한자는 배울 學자의 베트남 음인 học입니다. 한자học學학베트남 한자음한자한국 한자음 목차 한자음 해부도베트남 한자음 học은 첫소리 자음 h와 나머지소리 {oc}의 조합으로 구성된 자입니다.한자음 해부도첫소리 나머지소리 한자음h+oc=họcㅎ옥혹 발음 유사도 (표기법 기준)베트남 한자음 học은 한국어로 [혹]이라고 표기하며, 한국 한자음 과는 첫소리의 발음이 같고 나머지소리의 발음은 유사합니다. 다만 안그래도 한국어로 표기가 어려운 모음 o에 끝소리 c와의 만남으로 입다뭄 현상까지 일어나면서 실제 발음은 표기와 큰 차이가 있으며, [홉.. 2023. 7. 3.
나머지소리 {ac}은 {악} {ac}은 {악} 나머지소리 시리즈의 두번째 주자는 한국어로 [악]이라고 표기하고 발음하는 나머지소리 {ac}입니다. 나머지소리 {ac}이 포함된 베트남 한자음은 어림잡아 약 160개가 있으며, 거의 다 한국 한자음으로 {악}이 됩니다. 그 다음 순으로 큰 격차를 두고 한국 한자음 속 {억/역}이 되고, 또 그 다음에 {왁} 등으로 이어집니다. 나머지소리 중심 첫소리 + 나머지소리 = 한자어 ac { 악 } 끝소리 나머지소리 {ac} 중에서 끝소리 c는 한국 한자음으로 대부분 [ㄱ] 받침이 됩니다. ✋ 잠깐! 성조결합의 제한 나머지소리 {ac}의 끝소리 c는 파열음에 속하므로 올림조 á 또는 낙하조 ạ 이상 2개의 성조와만 결합할 수 있다는 제한이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2023. 6.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