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한자음190 나머지소리 {anh}은 {영, 앵} {anh}은 {영, 앵} 오늘 다룰 나머지소리는 [아인(남부: 안)]이라고 표기하고 발음하는 나머지소리 {anh}입니다. 나머지소리 {anh}이 포함된 베트남 한자음은 어림잡아 약 140개가 있으며, 이중 절반 이상이 한국 한자음으로 {영/엉}이 되고, 그보다 조금 적은 수가 한국 한자음으로 {앵}이 됩니다. 그 다음에 {앙, 웅} 순으로 이어집니다. 나머지소리 중심 첫소리 + 나머지소리 = 한자어 anh { 영, 앵 } 끝소리 나머지소리 {anh} 중에서 끝소리 nh은 한국 한자음으로 대부분 [ㅇ] 받침이 됩니다. 자세한 발음에 관한 설명은 아래 페이지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베트남어의 모음 베트남어의 자음 음의 비율 % 영/엉 앵 앙 .. 나머지소리 {anh}이 포함된 베트남 한자음 약 140개를 한.. 2023. 9. 5. 나라 quốc 국 베트남 한자음 quốc 소개다가오는 베트남의 독립기념일(9월 2일)을 맞아 소개하는 오늘의 한자는 나라 國자의 베트남 음인 quốc을 들 수 있습니다. 한자quốc國국베트남 한자음한자한국 한자음 목차 한자음 해부도베트남 한자음 quốc은 첫소리 자음 q와 나머지소리 {uôc}의 조합으로 구성된 자입니다.한자음 해부도첫소리 나머지소리 한자음q+uôc=quốcㄲ우옥꾸옥 발음 유사도 (표기법 기준)베트남 한자음 quốc은 한국어로 [꾸옥]이라고 표기하며, 한국 한자음 과 첫소리의 발음이 유사하고 나머지소리의 발음도 비슷한 편입니다. 자세한 발음에 관한 설명은 아래 페이지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베트남어의 모음 바로가기 베트남어의 자음 바로가기 동음이의어 (성조 무관)없음.▲ 첫소리 q첫소리 q는 압도적 비.. 2023. 9. 1. 어려울수록 뜨엉 턴 뜨엉 아이의 정신으로 뜨엉 턴 뜨엉 아이 소개 한국에 서로서로 돕는다는 뜻의 상부상조(相扶相助)라는 말이 있다면 베트남에는 비슷한 의미의 라는 사자성어가 있습니다. "서로 친밀하게 아끼고 사랑한다"는 겉뜻을 가진 이 사자성어는 애틋하고 열렬히 좋아하는 사랑이 아닌 타인 또는 이웃간의 보듬는 사랑을 말하며 상부상조의 정신을 강조할 때 주로 인용됩니다. 베트남어로 된 풀이는 "tinh thần thương yêu lẫn nhau" 입니다. 사자성어 tương thân tương ái 뜨엉 턴 뜨엉 아이 상 친 상 애 서로 相 친할 親 서로 相 사랑 愛 목차 4자 해부 사자성어 속 각 자의 풀이는 다음과 같습니다. 1. tương 상 相 ∨ 첫 번째 자인 tương은 첫소리 t에 나머지소리 {ương}이 결합한 자입니다. 한자음 .. 2023. 8. 29. 나머지소리 {ang}은 {앙} {ang}은 {앙} 오늘 다룰 나머지소리는 [앙]이라고 표기하고 발음하는 나머지소리 {ang}입니다. 나머지소리 {ang}이 포함된 베트남 한자음은 어림잡아 약 190개가 있으며, 100%에 가깝게 한국 한자음으로 {앙}이 됩니다. 그 다음 순으로 큰 격차를 두고 한국 한자음으로 {옹}, {왕} 등으로 이어집니다. 나머지소리 중심 첫소리 + 나머지소리 = 한자어 ang { 앙 } 끝소리 나머지소리 {ang} 중에서 끝소리 ng은 한국 한자음으로 대부분 [ㅇ] 받침이 됩니다. 자세한 발음에 관한 설명은 아래 페이지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베트남어의 모음 베트남어의 자음 음의 비율 % 앙 왕 옹 .. 나머지소리 {ang}이 포함된 베트남 한자음 약 190개를 한국 한자음으로 풀이하면 {앙/양}이 99%로 전.. 2023. 8. 25. 나머지소리 {an}은 {안} {an}은 {안} 오늘 다룰 나머지소리는 [안]이라고 표기하고 발음하는 나머지소리 {an}입니다. 나머지소리 {an}이 포함된 베트남 한자음은 어림잡아 약 250개가 있으며, 이중 상당수가 한국 한자음으로 {안}이 됩니다. 그 다음 순으로 큰 격차를 두고 {언}이 되고 나머지 음으로 이어집니다. 나머지소리 중심 첫소리 + 나머지소리 = 한자어 an { 안 } 끝소리 나머지소리 {an} 중에서 끝소리 n은 한국 한자음으로 대부분 [ㄴ] 받침이 됩니다. 자세한 발음에 관한 설명은 아래 페이지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베트남어의 모음 베트남어의 자음 음의 비율 % 안 언 .. 나머지소리 {an}이 포함된 베트남 한자음 약 250개를 한국 한자음으로 풀이하면 {안}이 96%로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합니다. 그 다음.. 2023. 8. 17. 뜨 꿍 뜨 껍의 삶을 추구하다 뜨 꿍 뜨 껍 소개 한국에서 자급자족이라는 말을 쓴다면 베트남에는 이 있습니다. 북한도 자공자급이라고 쓴다고 합니다. "필요한 물건 따위를 스스로 생산하고 충당한다"는 뜻을 가진 이 단어의 베트남어로 된 풀이는 "trạng thái tự lập có thể tự mình cung cấp cho mình" 입니다. 사자성어 tự cung tự cấp 뜨 꿍 뜨 껍 자 공 자 급 스스로 自 이바지할 供 스스로 自 넉넉할 給 위의 자공자급을 더 많이 쓰긴 하지만 베트남에서도 을 쓰기는 합니다. 사자성어 tự cấp tự túc 뜨 껍 뜨 뚝 자 급 자 족 스스로 自 넉넉할 給 스스로 自 발 足 목차 4자 해부 사자성어 속 각 자의 풀이는 다음과 같습니다. 1. tự 자 自 ∨ 첫 번째 자인 tự는 첫소리 t에.. 2023. 8. 13. 나머지소리 {am}은 {암} {am}은 {암} 알파벳 순서에 따라 오늘 다룰 나머지소리는 [암]이라고 표기하고 발음하는 나머지소리 {am}입니다. 나머지소리 {am}이 포함된 베트남 한자음은 어림잡아 약 190개가 있으며, 한국 한자음으로 풀이시 압도적 비율로 {암}이 됩니다. 그 다음 순으로 큰 격차를 두고 한국 한자음으로 {엄}이 되고 그 다음에 {임} 등으로 이어집니다. 나머지소리 중심 첫소리 + 나머지소리 = 한자어 am { 암 } 끝소리 나머지소리 {am} 중에서 끝소리 m은 한국 한자음으로 대부분 [ㅁ] 받침이 됩니다. 자세한 발음에 관한 설명은 아래 페이지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베트남어의 모음 베트남어의 자음 음의 비율 % 암 엄 임 .. 나머지소리 {am}이 포함된 베트남 한자음 약 190개를 한국 한자음으로 풀이하.. 2023. 8. 9. 이전 1 2 3 4 5 6 7 8 ··· 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