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자음 대조30

나머지소리 {ac}은 {악} {ac}은 {악} 나머지소리 시리즈의 두번째 주자는 한국어로 [악]이라고 표기하고 발음하는 나머지소리 {ac}입니다. 나머지소리 {ac}이 포함된 베트남 한자음은 어림잡아 약 160개가 있으며, 거의 다 한국 한자음으로 {악}이 됩니다. 그 다음 순으로 큰 격차를 두고 한국 한자음 속 {억/역}이 되고, 또 그 다음에 {왁} 등으로 이어집니다. 나머지소리 중심 첫소리 + 나머지소리 = 한자어 ac { 악 } 끝소리 나머지소리 {ac} 중에서 끝소리 c는 한국 한자음으로 대부분 [ㄱ] 받침이 됩니다. ✋ 잠깐! 성조결합의 제한 나머지소리 {ac}의 끝소리 c는 파열음에 속하므로 올림조 á 또는 낙하조 ạ 이상 2개의 성조와만 결합할 수 있다는 제한이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2023. 6. 29.
나머지소리 {a}는 {아} {a}는 {아/야} 나머지소리 시리즈를 시작합니다. 첫 주자는 한국어로도 [아]라고 표기하고 발음하는 나머지소리 {a}입니다. 나머지소리 {a}가 포함된 베트남 한자음은 어림잡아 약 350개가 있으며, 이중 대부분이 한국 한자음으로 {아/야}가 됩니다. 그 다음으로 비율에 상당한 격차를 두고 한국 한자음 속 {애}가 되고, 그 다음에 {와} 등으로 이어집니다. 나머지소리 중심 첫소리 + 나머지소리 = 한자어 a { 아/야 } 음의 비율 % 아/야 애 와 .. 나머지소리 {a}로 이뤄진 베트남 한자음 약 350개를 한국 한자음으로 풀이하면 {아/야}가 약 95%로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합니다. 그 다음으로 {애}가 약 1.5% 를 차지하고 있으며 {와} 등으로도 풀이됩니다. 이따금 한국 한자음으로 생뚱맞은 .. 2023. 6. 2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