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한자음 quan 소개
알파벳 q(u)로 시작하는 한자 중에서도 널리 쓰이고 흔히 볼수 있는 자로 볼 觀자의 베트남 음인 quan을 들 수 있습니다.
quan | 觀 | 관 |
베트남 한자음 | 한자 | 한국 한자음 |
목차
한자음 해부도
베트남 한자음 quan은 첫소리 q에 나머지소리 {uan}의 조합으로 구성된 자입니다.
첫소리 | 나머지소리 | 한자음 | ||
---|---|---|---|---|
q | + | uan | = | quan |
ㄲ | 완 | 꽌 |
발음 유사도 (표기법 기준)
베트남 한자음 quan은 한국어로 [꽌]이라고 표기하며, 한국 한자음 <관>과 첫소리의 발음이 유사하고 나머지소리의 발음은 같습니다.
동음이의어 (성조 무관)
볼 觀자와 발음은 같으나 다른 뜻을 가진 quan 자들도 의미와 상관 없이 한국 한자음으로는 모두 <관>이 됩니다.
아래는 같은 철자이지만 다른 뜻을 가진 자들로 성조가 다른 자들도 포함하였습니다.
동음이의어 | quan | 官 | 관 |
quan | 關 | ||
quán | 慣 | ||
quán | 館 | ||
quản | 管 |
첫소리 q
첫소리 q는 압도적 비율(90% 이상)로 한국 한자음에서 [ㄱ]이 됩니다.
첫소리 | + | 나머지소리 | = | 한자음 |
q | ||||
ㄱ |
같은 첫소리가 다른 나머지소리와 결합한 예는 아래와 같습니다.
첫소리의 예 | quá | 過 | 과 |
quân | 軍 | 군 | |
quế | 桂 | 계 | |
quyền | 權 | 권 | |
quyết | 決 | 결 |
☑ 베트남어 음절에서 자음 q는 항상 활음 u와 붙어있기 때문에 qu 자체를 하나의 첫소리로 구분하기도 합니다.
나머지소리 uan
나머지소리 {uan}은 활음 u와 주음인 모음 a, 비음 끝소리 n의 조합으로 이뤄졌으며, 100% 한국 한자음의 {완}이 됩니다.
첫소리 | + | 나머지소리 | = | 한자음 |
uan | ||||
완 |
같은 나머지소리가 다른 첫소리 자음과 결합한 예는 없습니다.
✋ 잠깐! chút xíu!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활음이 포함된 qu까지를 첫소리로 보기도 하는데 이 경우 이 한자음의 나머지소리는 {an}이 됩니다. 하지만 또다른 자음+모음 묶음인 gi와 달리 qu는 활음 u의 영향이 워낙 커서 한국 한자음으로 풀이시 과반이 덩달아 활음화되므로 여기서는 자음 q와 나머지소리 {uan}으로 분리해서 봅니다.
활음을 포함한 반모음에 대한 설명은 아래 글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반만 알고 가는 베트남어의 반모음(중급)
음소를 모음 음소, 자음 음소, 반모음 음소로 구분한다고 하지만 우리는 모음, 자음은 익히 들어왔어도 반모음은 이중모음의 한 요소로써의 활음에 대하여만 들어왔을 뿐입니다. 그러나 베트남
kokovi.com
끝소리
이에 따라 해당 나머지소리의 마감음인 끝소리 n이 한국 한자음에서 [ㄴ] 받침이 된다는 것을 함께 확인할 수 있습니다.
꼬리에 꼬리를 무는 단어장
해당 한자는 한국어에서와 같은 빈도와 용도로 베트남에서도 쓰이며 발음이 유사한 단어가 많은 편입니다.
베트남어 | 발음 | 한자 | 한국어 |
---|---|---|---|
quan điểm | 꽌 디엠 | 觀點 | 관점 |
quan khách | 꽌 캇 | 觀客 | 관객 "내빈"의 의미 |
quan niệm | 꽌 니엠 | 觀念 | 관념 |
quan sát | 꽌 삿 | 觀察 | 관찰 |
quan trắc | 꽌 짝 | 觀測 | 관측 |
bi quan | 비 꽌 | 悲觀 | 비관 |
bàng quan | 방 꽌 | 傍觀 | 방관 |
cảnh quan | 깐 꽌 | 景觀 | 경관 |
chủ quan | 쭈 꽌 | 主觀 | 주관 |
lạc quan | 락 꽌 | 樂觀 | 낙관 |
khả quan | 카 꽌 | 可觀 | 가관 "희망적, 고무적"의 의미 |
khách quan | 캇 꽌 | 客觀 | 객관 |
tham quan | 탐 꽌 | 參觀 | 참관 |
trực quan | 쯕 꽌 | 直觀 | 직관 |
사자성어
해당 한자가 포함된 사자성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예시
- # 첫소리q
- # 나머지소리{uan}
- # 끝소리n
- # quan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