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흔히 쓰는 사자성어 중 칠전팔기는 베트남어 성어사전에는 존재하지 않지만 그대신 딱 한 자 차이로 매우 유사해 보이는 <칠전팔도 thất điên bát đảo 七顚八倒>가 있습니다.
다만 그 다른 한 자가 결말을 바꾸어서 우리가 아는 칠전팔기가 "일곱번 넘어지고 여덟번 일어난다"로 매우 희망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면 칠전팔도는 "일곱 번 구르고 여덟 번 넘어진다"는 뜻으로 수많은 실패를 거듭하고 몹시 고생함을 이르는 말이라고 하며(아직 못 일어난 열린 결말), 베트남어로 된 풀이는 "bảy ngã tám nhào" 입니다.
또 한가지 유의할 점은 베트남어에서는 이 사자성어가 실제 구르고 엎어지는 행동과 모양을 가리킴으로써 혼비백산에 가까운 의미로도 활용된다는 점입니다.
사자성어
thất
điên
bát
đảo
텃
디엔
밧
다오
칠
전
팔
도
일곱 七
넘어질 顚
여덟 八
넘어질 倒
목차
4자 해부
사자성어 <thất điên bát đảo 칠전팔도> 속 각 자의 풀이는 다음과 같습니다.
1. thất 칠 七 ∨
첫 번째 자인 thất은 첫소리 th에 나머지소리 {ât}이 결합한 자입니다.
한자음 해부도
첫소리
나머지소리
한자음
th
+
ât
=
thất
ㅌ
엇
텃
ㅅ, ㅊ, ㅌ
일, 울, 을
칠
발음 유사도 (표기법 기준)
베트남 한자음 thất은 한국어로 [텃]이라고 표기하며, 한국 한자음 <칠>과는 첫소리와 나머지소리의 발음이 모두 다릅니다.
한자음 풀이
베트남 한자음 thất의 첫소리 th는 절반에 가까운 비율로 한국 한자음의 [ㅅ]이 되고 그 다음에 [ㅊ] 순으로 이어집니다. 나머지소리 {ât}은 과반의 비율로 한국 한자음 속 {일}이 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