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자음 대조/사자성어

뛰 신 몽 뜨, 한평생 취해 살고 꿈꾸듯 죽는다

2023. 3. 25.

 

뛰 신 몽 뜨 소개

O생O사는 친근한 구조의 사자성어 같지만 막상 기억을 더듬어보면 사자성어 대신 옛날 가요부터 떠오릅니다. 오늘 다루는 <취생몽사 tuý sinh mộng tử 醉生夢死> 역시 한국과 베트남에 존재는 하지만 많이 쓰이지 않는 사자성어 중 하나입니다. 

 

"술에 취해 살고 꿈속에서 죽는다"는 겉뜻을 가진 이 사자성어는 아무 하는 일 없이 한평생을 흐리멍덩하게 살아감을 이르는 말이라고 하며, 베트남어로 된 풀이는 "sống trong cơn say chết trong giấc mơ; sống không có lý tưởng" 입니다.

 

사자성어
tuý sinh mộng tử
취할 醉 날 生 꿈 夢 죽을 死

 

 

4자 해부

사자성어 <tuý sinh mộng tử 취생몽사> 속 각 자의 풀이는 다음과 같습니다.

 

1. tuý 취 醉

첫 번째 자인 tuý는 첫소리 t에 나머지소리 {uy}가 결합한 자입니다.

한자음 해부도
첫소리   나머지소리   한자음
t + uy = tuý
ㅅ, ㅈ, ㅊ 우/유, 위

 

발음 유사도 (표기법 기준)

베트남 한자음 tuý는 한국어로 [뛰]라고 표기하며, 한국 한자음 <취>와는 첫소리의 발음이 다르고 나머지소리의 발음은 똑같습니다. 

 

한자음 풀이

베트남 한자음 tuý의 첫소리 t는 절반 가까운 비율로 한국 한자음의 [ㅅ]이 되고 그 다음에 [ㅈ], [ㅊ] 순으로 이어집니다. 나머지소리 {uy} 역시 절반에 못 미치는 비율로 한국 한자음 속 {우} 또는 {유}가 되고 그 다음에 {위} 순으로 이어집니다. 

 

꼬리에 꼬리를 무는 단어장

해당 한자가 포함된 대표적인 단어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어장
베트남어 발음 한자 한국어
tuý quyền 뛰 뀌엔 醉拳 취권
ma tuý 마 뛰 魔醉 마취 
"마약"의 의미

 

같은 자 혹은 철자만 같은 자를 다룬 포스트는 아래 링크에서 더 확인할 수 있습니다.

더보기   부창부수, 임기응변, ...

 

 

 

2. sinh 생 生

두 번째 자 sinh은 첫소리 s에 나머지소리 {inh}이 결합한 자입니다.

한자음 해부도
첫소리   나머지소리   한자음
s + inh = sinh
영, 엉

 

발음 유사도 (표기법 기준)

베트남 한자음 sinh은 한국어로 [신]이라고 표기하며, 한국 한자음 <생>과는 첫소리의 발음이 비슷하고 나머지소리의 발음은 다릅니다. 

 

자세한 설명은 앞서 작성된 한자어 <강생> 페이지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크리스마스를 한자어로 하면?

giáng sinh 강생 오늘의 한자어는 크리스마스 이브인 오늘 배워야 할것 같은 크리스마스입니다. 베트남어로 크리스마스는 프랑스어에서 유래한 Noel 또는 한자에서 유래한 Giáng sinh이라 부르며, 이

kokovi.com

 

꼬리에 꼬리를 무는 단어장

같은 자 혹은 철자만 같은 자를 다룬 포스트는 아래 링크에서 더 확인할 수 있습니다.

더보기   불로장생, 사중구생, 생로병사, ...

 

 

 

3. mộng 몽 夢

세 번째 자 mộng은 첫소리 m에 나머지소리 {ông}가 결합한 자입니다.

한자음 해부도
첫소리   나머지소리   한자음
m + ông = mộng

 

발음 유사도 (표기법 기준)

베트남 한자음 mộng은 한국어로 [몽]이라고 표기하며, 한국 한자음 <몽>과는 발음이 거의 같습니다. 

 

 

자세한 설명은 앞서 포스팅한 <동상이몽> 페이지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동 상 지 몽, 사람속은 모른다

동 상 지 몽 소개 한국에서만큼 베트남에서도 심심찮게 쓰이는 사자성어 중에는 이 있습니다. 발음도 비슷합니다. "한 자리에 같이 자면서 각기 다른 꿈을 꾼다"는 뜻을 가진 이 사자성어는 겉으

kokovi.com

 

꼬리에 꼬리를 무는 단어장

같은 자 혹은 철자만 같은 자를 다룬 포스트는 아래 링크에서 더 확인할 수 있습니다.

더보기   동상이몽, ...

 

 

 

4. tử 사 死

네 번째 자 tử는 첫소리 t에 나머지소리 {ư}가 결합한 자입니다.

한자음 해부도
첫소리   나머지소리   한자음
t + ư = tử
ㅅ, ㅈ, ㅊ 어, 아

 

발음 유사도 (표기법 기준)

베트남 한자음 tử는 한국어로 [뜨]라고 표기하며, 한국 한자음 <사>와는 첫소리와 나머지소리의 발음이 모두 다릅니다.

 

자세한 설명은 앞서 포스팅한 <생로병사> 페이지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신 라오 벤 뜨, 인간의 숙명 또는 고통

신 라오 벤 뜨 소개 한국에서만큼 베트남에도 많이 알려진 사자성어 중에는 가 있습니다. "태어나 늙고 병들어 죽는다"는 겉뜻을 가진 이 사자성어는 인간에게 주어진 숙명이자 불교에서 말하는

kokovi.com

 

꼬리에 꼬리를 무는 단어장

같은 자 혹은 철자만 같은 자를 다룬 포스트는 아래 링크에서 더 확인할 수 있습니다.

더보기   구사일생, 자력갱생, 조삼모사, ...

 

 

 

활용도 ★☆

해당 사자성어는 영화나 소설 제목(그보다는 김용의 무협소설에 나오는 술 이름)으로나 볼 수 있을 뿐 일반적으로 흔히 쓰는 성어는 아닙니다.

 

예시

 

&quot;뛰 신 몽 뜨&quot;를 인용한 그래픽

챕터명: 취생몽사
(출처: Dem Buon)

 


 

마시면 과거를 다 잊는다는 술 &quot;뛰 신 몽 뜨&quot;

마시면 과거를 모두 잊게 된다는 술: 취생몽사
(출처: Thanh Nien)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