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서처럼 널리 쓰이지는 않지만 베트남에서도 쓰이는 사자성어 중에는 <주마간화 tâu ma khan hoa 走馬看花>가 있습니다.
"달리는 말을 타고 꽃구경 한다"는 뜻을 가진 이 사자성어는 사물의 겉만 대충 훑어보고 속은 살펴보지 않음을 비유하는 말이라고 하며 우리말 속담 중 "수박 겉핥기"와 유사합니다. 베트남어로 된 풀이는 "cưỡi ngựa xem hoa; tức là làm việc qua loa sơ sài" 입니다.
그외 전혀 다른 의미로 전해지기도 하는데, 급제하고 마음이 여유로운 자가 말을 타고 느긋하게 하는 꽃구경을 뜻한다고도 합니다.
사자성어
tẩu
mã
khán
hoa
떠우
마
칸
호아
주
마
간
화
달릴 走
말 馬
볼 看
꽃 花
목차
4자 해부
사자성어 <tẩu mã khán hoa 주마간화> 속 각 자의 풀이는 다음과 같습니다.
1. tẩu 주 走 ∨
첫 번째 자인 tẩu는 첫소리 t에 나머지소리 {âu}가 결합한 자입니다.
한자음 해부도
첫소리
나머지소리
한자음
t
+
âu
=
tẩu
ㄸ
어우
떠우
ㅅ, ㅈ, ㅊ
우
주
발음 유사도 (표기법 기준)
베트남 한자음 tẩu는 한국어로 [떠우]라고 표기하며, 한국 한자음 <주>와는 첫소리의 발음이 다르고 나머지소리의 발음은 유사합니다.
한자음 풀이
베트남 한자음 tẩu의 첫소리 t는 절반 가까운 비율로 한국 한자음의 [ㅅ]이 되고 그 다음에 [ㅈ] 순으로 이어지며, 나머지소리 {âu}는 압도적 비율로 한국 한자음 속 {우}가 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