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자음 대조/한자어

[베트남 통일 50주년] 둘이 하나로 합치다

2025. 4. 30.

 

thống nhất 통일

사이공 해방과 함께 베트남 통일 50주년(1975~2025)이 되는 4월 30일을 맞아 소개하는 오늘의 한자어는 <thống nhất 統一 통일>입니다. 

 

한자어
thống nhất
거느릴 統 한 一

 

목차

     

    베트남 통일 50주년 기념 로고

     

    단어 해부

    단어 속 각 자의 풀이는 다음과 같습니다.

     

    1. thống 통 統

    첫 번째 자인 thống은 첫소리 th에 나머지소리 {ông}이 결합한 자입니다.

    한자어 해부도
    첫소리   나머지소리   한자어
    th + ông = thống
    ㅅ, ㅊ, ㅌ

     

    발음 유사도 (표기법 기준)

    베트남 한자음 thống은 한국어로 [통]이라고 표기하며, 한국 한자음 <통>와 첫소리의 발음이 거의 같고 나머지소리의 발음이 유사합니다. 

     

    🔔 입다뭄 현상 (양순음화)

    끝소리 ng가 원순모음 <o, ô, u>와 결합하는 경우 발음 직후 입을 다물어줘야 합니다. 따라서 위 한자어의 한국어 표기는 [통]이지만 발음 직후에 입을 재빨리 다물어서 실제 발음은 [통(ㅁ)]이 됩니다. 

     

    자세한 발음에 관한 설명은 아래 페이지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한자음 풀이

    베트남 한자음 thống의 첫소리 자음 th는 절반에 가까운 비율로 한국 한자음의 [ㅅ]이 되며, 나머지소리 {ông}은 압도적 비율로 한국 한자음 속 {옹}이 됩니다. 

     

    꼬리에 꼬리를 무는 단어장

    해당 한자가 포함된 대표적인 단어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어장
    베트남어 발음 한자 한국어
    thống chế 통 쩨 統制 통제
    thống đốc 통 독 統督 통독
    thống lĩnh 통 린 統領 통령 
    "관할하여 거느림"
    thống trị 통 찌  統治 통치
    tổng thống 똥 통 總統 총통

     

    같은 자 혹은 철자만 같은 자를 다룬 포스트는 아래 링크에서 더 확인할 수 있습니다.

    더보기   전가통신, "똥 통", ...

     

     

     

    2. nhất 일 一

    두 번째 자 nhất는 첫소리 nh에 나머지소리 {ât}이 결합한 자입니다.

    한자어 해부도
    첫소리   나머지소리   한자어
    nh + ât = nhất
    ㄴ(ㅣ)
    일, 울, 을

     

    업데이트: 나머지소리 {ât}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아래 링크에 있습니다.

     

    발음 유사도 (표기법 기준)

    베트남 한자음 nhất은 한국어로 [녓]이라고 표기하며, 한국 한자음 <일>과는 첫소리와 나머지소리의 발음이 모두 다릅니다. 

     

    자세한 설명은 앞서 포스팅한 <유일무이> 페이지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독 녓 보 니, 원 앤 온리

    독 녓 보 니 소개 한국에 가 있다면 베트남에는 가 있습니다. "오직 하나 뿐이고 둘도 없다"는 뜻을 가진 이 사자성어는 우리나라에서 많이 쓰는 와 의미가 동일하며 첫번째 자 하나만 다를 뿐입

    kokovi.com

     

     

    같은 자 혹은 철자만 같은 자를 다룬 포스트는 아래 링크에서 더 확인할 수 있습니다.

    더보기   일거수 일투족, 청천백일, 문일지십, ...

     

     

     

    예시

    베트남의 통일 50주년 관련 뉴스 화면
    통일 50년, 베트남의 괄목할 변화와 성장 (출처: VNA media)


    &quot;통 녓&quot;을 인용한 뉴스 화면 캡처
    조선이 통일하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 (출처: 유튜브)

     

    더보기
     

    [베트남 통일 50주년] 가둬있던 것을 자유롭게 하다

    giải phóng 해방베트남 통일 50주년을 맞아 소개하는 오늘의 한자어는 입니다. 한때 동방의 진주라고도 불렸던 사이공은 해방을 계기로 호찌민 시(thành phố Hồ Chí Minh)라는 이름으로 다시 태어

    kokovi.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