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자음 대조/사자성어

반 띤 반 응이, 내 마음은 반반

2022. 11. 8.

 

반 띤 반 응이 소개

베트남과 한국 모두에서 흔히 쓰이는 사자성어 중에는 <반신반의 bán tin bán nghi 半信半疑>가 있습니다. 

 

"반은 믿고 반은 의심한다"는 뜻을 가진 이 사자성어는 한편으로는 믿으면서도 또 다른 한편으로는 의심을 거두지 못하고 갈피를 못 잡는 상태를 말하며, 베트남어로 된 풀이는 "nửa tin nửa nghi" 입니다.

 

사자성어
bán tín bán nghi
응이
반 半 믿을 信 반 半 의심할 疑

 

목차

     

    4자 해부

    사자성어 <bán tin bán nghi 반신반의> 속 각 자의 풀이는 다음과 같습니다.

     

    1. Bán 반 半

    첫 번째 자인 bán은 첫소리 b와 나머지소리 {an}이 결합한 자입니다.

    한자음 해부도
    첫소리   나머지소리   한자음
    b + an = bán
    ㅂ, ㅍ

     

    발음 유사도 (표기법 기준)

    베트남 한자음 bán은 한국어로 [반]이라고 표기하며, 한국 한자음과 발음이 같습니다. 

     

    한자음 풀이

    베트남 한자음 bán의 첫소리 b는 과반의 비율로 한국 한자음의 [ㅂ]이 되며, 나머지소리 {an}은 압도적 비율로 한국 한자음 속 {안}이 됩니다. 

     

    꼬리에 꼬리를 무는 단어장

    해당 한자가 포함된 대표적인 단어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어장
    베트남어 발음 한자 한국어
    bán đảo 반 다오 半島 반도
    bán kính 반 낀 半徑 반경
    bán nguyệt 반 응위엣 半月 반월
    Nam bán cầu 남 반 꺼우 南半球 남반구

     

     

     

    2. Tín 신 信

    두 번째 자 tin은 첫소리 t에 나머지소리 {in}이 결합한 자입니다.

    한자음 해부도
    첫소리   나머지소리   한자음
    t + in = tín
    ㅅ, ㅈ, ㅊ

     

    발음 유사도 (표기법 기준)

    베트남 한자음 tín은 한국어로 [띤]이라고 표기하며, 한국 한자음 <신>과는 첫소리의 발음이 다르고 나머지소리의 발음은 같습니다. 

     

    잠깐! 여기서 한가지 유의해야 할 점은 믿을 信자의 베트남음은 올림조가 있는 tín이지만 순 베트남어로 동사 "믿는다"는 성조가 없는 tin을 쓴다는 점입니다. 한자에서 비롯된 고유어, 또는 반대로 베트남어화된 한자음(âm Hán Việt Việt hoá)이라 할 수도 있겠습니다. 

     

    한자음 풀이

    베트남 한자음 tín의 첫소리 t는 절반에 조금 못 미치는 비율로 한국 한자음의 [ㅅ]이 되며, 나머지소리 {in}은 압도적 비율로 한국 한자음 속 {인}이 됩니다. 

     

     

    꼬리에 꼬리를 무는 단어장

    해당 한자가 포함된 대표적인 단어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어장
    베트남어 발음 한자 한국어
    tín dụng 띤 중 信用 신용
    tín hiệu 띤 히에우 信號 신호
    tín ngưỡng 띤 응으엉 信仰 신앙
    tín đồ 띤 도 信徒 신도

     

     

     

    3. Bán 반 半

    첫 번째 자와 같습니다.

     

    4. Nghi 응이 疑

    네 번째 자 nghi는 첫소리 ng/ngh과 나머지소리 {i}가 결합한 자입니다.

    한자음 해부도
    첫소리   나머지소리   한자음
    ng/ngh + i = nghi
    (응)ㅇ 응이

     

    발음 유사도 (표기법 기준)

    베트남 한자음 nghi는 한국어로 [응이]라고 표기하며, 한국 한자음 <의>과는 첫소리의 발음이 다르고 나머지소리의 발음은 유사합니다. 

     

    한자음 풀이

    베트남 한자음 nghi의 첫소리 ng/ngh는 거의 압도적 비율로 한국 한자음의 [ㅇ]이 되며, 나머지소리 {i}는 대부분 한국 한자음 속 {이}가 되지만 첫소리 자음이 h이거나 ngh일 경우 {의}가 되는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습니다.

     

    꼬리에 꼬리를 무는 단어장

    해당 한자가 포함된 대표적인 단어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어장
    베트남어 발음 한자 한국어
    nghi hoặc 응이 확 疑惑 의혹
    nghi vấn 응이 번 疑問 의문
    hoài nghi 호아이 응이 懷疑 회의

     

     

     

    활용도 ★★★

    해당 사자성어는 베트남 현지 신문에 종종 인용되며, 일상대화에서도 가끔 들을 수 있습니다. 다수가 알고 있으므로 유식한 척하는 느낌 없이 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고 하겠습니다.

     

    예시

    &quot;반 띤 반 응이&quot;를 인용한 그래픽
    (출처: vlstudies.com)

     

    💬 사자성어는 아니지만 의심과 관련된 표현 중 베트남에서 많이 쓰이는 표현으로 "đa nghi như Tào Tháo"라는 것이 있습니다. "조조처럼 의심이 많다"는 뜻이며 여기서 말하는 조조는 삼국지의 등장인물 조조를 말합니다. 같은 한자 문화권이기에 특별한 설명이 필요하지는 않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