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어의 사자성어 소개
한국어와 마찬가지로 베트남어에는 고대부터 중국에서 기원한 관용어 및 성어가 다수 유입되었으며, 일반적으로 4글자로 구성된 성어가 많아서 사자성어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또한 한자성어 중 중국의 고사에서 유래된 성어들을 두고 고사성어라고 부릅니다.
베트남어 속 한자성어의 분류
함축되고 간결한 글자 속에 다양한 의미를 포함하고 있는 사자성어는 그 활용 가치를 높게 평가받아 고대부터 베트남어에서 사용해온 한자성어의 수가 수천개에 이른다고 하며 크게 3가지 형태로 분류됩니다.
1. 한자 원음을 사용한 성어
한국에서도 쓰이는 우리에게 익숙한 형태입니다.
多多益善 | ⇒ | đa đa ích thiện |
다다익선 | 다 다 잇 티엔 |
2. 베트남어로 의미를 번역한 성어
베트남에서 사용하지 않는 한자들이 포함되어 원음으로 뒀을 때 일반적으로 뜻을 이해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로 한자성어를 베트남어로 번역하거나 쉽게 풀어 쓴 형태를 말합니다.
예를 들어, 주윤발 주연의 영화 제목으로도 유명한 와신상담(臥薪嘗膽)과 같은 성어는 한자 원음인 <Ngoạ tân thường đảm> 보다 순 베트남어로 풀어서 쓴 "Nằm gai nếm mật(가시 위에 누워 쓸개를 맛본다)"이 더 잘 알려져 있습니다.
臥薪嘗膽 | ⇒ | nằm gai nếm mật |
와신상담 | 가시 위에 누워 쓸개를 맛보다 |
또 다른 예로, 우리에게 많이 익숙한 일석이조와 비슷한 성어 중에서 "하나의 화살로 두 마리 새를 잡는다"는 뜻을 가진 일전쌍조(一箭雙雕) 역시 베트남에서는 한자 원음인 <Nhất tiễn song điêu> 대신 순 베트남어로 번역한 "Một mũi tên trúng hai đích(한 개의 화살로 두 개의 목표를 맞춘다)"를 사용합니다.
3. 글자의 구성을 바꾼 성어
베트남어의 언어환경에 맞게 글자의 변화가 있거나 베트남어의 어순에 맞게 글자의 위치가 변화된 형태를 말합니다.
예를 들어 우리에게 너무 익숙한 구사일생(九死一生)은 드라마틱함이 부족했는지 베트남에서는 십사일생, 즉 <Thập tử nhất sinh 十死一生>이라 바꿔서 쓰고 있습니다.
九死一生 | ⇒ | 十死一生 |
구사일생 | thập tử nhất sinh |
또 다른 예로 삼국지에서 유래한 성어 중 "호랑이의 새끼가 개일리 없다"는 뜻을 가진 호부무견자(虎父無犬子) 역시 베트남에서는 "호랑이는 호랑이를 낳는다"는 뜻의 호부호생자, 즉 <Hổ phụ sinh hổ tử 虎父生虎子>라고 씁니다.
꼬꼬베에서 다룰 내용
이중 이 블로그에서 한국의 사자성어와 비교하는데 주로 사용할 형태는 1번입니다.
다만 1번 형태가 베트남에서도 유효하긴 하지만 쉽게 번역된 2번 형태가 별도로 존재하고 실생활에 더 많이 활용된다면 함께 언급할 예정이며 3번 형태의 경우도 마찬가지입니다.
한자 문화권의 언어를 배우는 외국인들에게는 큰 장벽이라는 사자성어지만 한국과 베트남은 모두 한자 문화권의 언어이기 때문에 서로의 언어를 배우는데 있어 사자성어는 장벽 보다는 문턱 정도의 어려움이라 표현할 수 있겠으며 일단 한번 넘나들면 제집 같은 편안함도 뒤따른다고 말할 수 있겠습니다.
어휘 공부는 덤입니다.
'한자음 대조 > 사자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밧 니엔 자이 라오 하세요! (ft. 파뿌리) (0) | 2022.11.12 |
---|---|
밧 찌엔 밧 탕, 승률이 백퍼 (0) | 2022.11.11 |
쐈다 하면 밧 팟 밧 쭝! (0) | 2022.11.09 |
반 띤 반 응이, 내 마음은 반반 (0) | 2022.11.08 |
안 끄 락 응이엡, 편하게 살고 즐겁게 일한다 (0) | 2022.11.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