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êm}은 {엄, 염}
오늘 다룰 나머지소리는 [이엠]이라고 표기하고 발음하는 나머지소리 {iêm}입니다.
나머지소리 {iêm}이 포함된 베트남 한자음은 약 150개가 있으며, 이중 대부분이 한국 한자음으로 {엄, 염}이 됩니다. 그 다음 순으로 큰 격차를 두고 {암}, {음}, {임} 등으로 이어집니다.
첫소리 | + | 나머지소리 | = | 한자어 |
iêm | ||||
{ 엄, 염 } |
끝소리
나머지소리 {iêm} 중에서 끝소리 m은 한국 한자음으로 대부분 [ㅁ] 받침이 됩니다.
음의 비율 %
나머지소리 {iêm}이 포함된 베트남 한자음 약 150개를 한국 한자음으로 풀이하면 {엄, 염}이 95%에 이르는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합니다. 그 다음으로 {암}이 약 3.2%를 차지하고 나머지는 동일한 비율로 {음}, {임}이 됩니다.
이따금 한국 한자음으로 생뚱맞은 풀이가 되는 경우는 예외로 분류하는데 이중에서 교육부가 지정한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에 포함되었거나 일정 수준 이상의 활용도를 가진 자들은 함께 소개하고 있으나 나머지소리 {iêm}의 경우 예외인 자가 없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내용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목차
{엄} ±54.5%
나머지소리 {iêm}은 한국 한자음으로 풀이할 때 1순위로 {엄}이 되며, 약 54.5%에 이르는 과반의 비율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엄}의 비율
아래는 첫소리 자음들과 결합했을 때의 대표적인 예입니다.
베트남어 | 한자 | 발음 | 한국어 | 예 |
---|---|---|---|---|
chiêm | 瞻 | 찌엠 | 첨 | chiêm ngưỡng 첨앙(앙첨) |
chiếm | 占 | 찌엠 | 점 | chiếm lĩnh 점령 |
điểm | 點 | 디엠 | 점 | quan điểm 관점 |
hiểm | 險 | 히엠 | 험 | bảo hiểm 보험 |
kiểm | 檢 | 끼엠 | 검 | kiểm chứng 검증 |
nghiêm | 嚴 | 응이엠 | 엄 | nghiêm cấm 엄금 |
nghiệm | 驗 | 응이엠 | 험 | kinh nghiệm 경험 |
단어장
- chiêm tinh [찌엠 띤] 점성(별을 보고 인간의 운세를 점치다)
- chiêm ngưỡng [찌엠 응으엉] 첨앙(앙첨, 우러러 보다)
- chiếm đoạt [찌엠 도앗] 점탈
- chiếm hữu [찌엠 흐우] 점유
- chiếm lĩnh [찌엠 린] 점령
- độc chiếm [독 찌엠] 독점
- xâm chiếm [썸 찌엠] 침점(침범)
- bàn môn điếm [반 몬 디엠] 판문점
- điểm danh [디엠 잔/얀] 점명(출석 호명)
- điểm số [디엠 소] 점수
- điểm tâm [디엠 떰] 점심(아침 식사)
- địa điểm [디어 디엠] 지점(장소, 위치)
- đỉnh điểm [딘 디엠] 정점
- khởi điểm [커이 디엠] 기점
- khuyết điểm [퀴엣 뎀] 결점(단점)
- nhược điểm [느억 디엠] 약점
- quan điểm [꽌 디엠] 관점
- tiêu điểm [띠에우 디엠] 초점
- thời điểm [터이 디엠] 시점
- trọng điểm [쫑 디엠] 중점
- ưu điểm [으우 디엠] 우점(장점)
- hiểm ác [히엠 악] 험악
- hiểm trở [히엠 쩌] 험조(지세가 가파르고 막하거나 끊어져 있다)
- bảo hiểm [바오 히엠] 보험
- mạo hiểm [마오 히엠] 모험
- nguy hiểm [응위 히엠] 위험
- thám hiểm [탐 히엠] 탐험
- kiếm [끼엠] 검
- kiếm khách [끼엠 캇] 검객
- kiếm sĩ [끼엠 시] 검사(칼을 쓰는 무술에 능한 사람)
- kiếm thuật [끼엠 투엇] 검술
- kiểm chứng [끼엠 쯩] 검증
- kiểm duyệt [끼엠 쥐엣] 검열
- kiểm sát [끼엠 삿] 검찰
- kiểm tra [끼엠 짜] 검사
- tiết kiệm [띠엣 끼엠] 절검(절약)
- nghiêm cấm [응이엠 껌] 엄금
- nghiêm chỉnh [응이엠 찐] 엄정
- nghiêm khắc [응이엠 칵] 엄각(엄격하다)
- nghiêm túc [응이엠 뚝] 엄숙(진지하다)
- nghiêm thủ [응이엠 투] 엄수
- nghiêm trọng [응이엠 쫑] 엄중(심각하다)
- giới nghiêm [저이 응이엠] 계엄
- tôn nghiêm [똔 응이엠] 존엄
- trang nghiêm [짱 응이엠] 장엄
- uy nghiêm [위 응이엠] 위엄
- hiệu nghiệm [히에우 응이엠] 효험
- khám nghiệm [캄 응이엠] 감험(감식하다, 과학적으로 조사하고 살펴보다)
- kinh nghiệm [낀 응이엠] 경험
- thí nghiệm [티 응이엠] 시험(실험하다)
{염} ±40%
위에서 살폈듯 나머지소리 {iêm}은 한국 한자음으로 풀이할 때 가장 큰 비율로 {엄}이 되며, 그 다음 순으로 한국 한자음 속 {염}이 됩니다. 전체 대비 약 40%로 상당한 비율입니다.
{염}의 비율
아래는 첫소리 자음들과 결합했을 때의 대표적인 예입니다.
베트남어 | 한자 | 발음 | 한국어 | 예 |
---|---|---|---|---|
biếm | 貶 | 비엠 | 폄 | biếm họa 폄화(만평) |
diêm | 鹽 | 지엠 | 염 | diêm điền 염전 |
kiêm | 兼 | 끼엠 | 겸 | kiêm 겸하다 |
khiêm | 謙 | 키엠 | 겸 | khiêm tốn 겸손 |
liêm | 廉 | 리엠 | 렴 | liêm sỉ 염치 |
niệm | 念 | 니엠 | 념 | quan niệm 관념 |
nhiễm | 染 | 니옘 | 염 | ô nhiễm 오염 |
viêm | 炎 | 비엠 | 염 | viêm 염증 |
단어장
- biếm họa [비엠 호아] 폄화(만평, 풍자만화)
- châm biếm [쩜 비엠] 침폄(풍자하다)
- diêm điền [지엠 디엔] 염전
- kiêm nhiệm [끼엠 니옘] 겸임
- khiêm nhượng [키엠 느엉] 겸양(자기를 낮추는 태도로 남에게 양보함)
- khiêm tốn [키엠 똔] 겸손
- liêm sỉ [리엠 시] 염치
- thanh liêm [탄 리엠] 청렴
- vô liêm sỉ [보 리엠 시] 무염치(파렴치)
- khâm liệm/liễm [컴 리엠] 금렴("시신을 염하다")
- hoài niệm [화이 니엠] 회념(회상하다)
- khái niệm [카이 니엠] 개념
- kỷ niệm [끼 니엠] 기념
- quan niệm [꽌 니엠] 관념
- ý niệm [이 니엠] 의념(생각, 견해)
- nhiễm sắc thể [니옘 삭 테] 염색체
- nhiễm trùng [니옘 쭝] 염충(균에 감염되다)
- ô nhiễm [오 니옘] 오염
- truyền nhiễm [쮜엔 니옘] 전염
- viêm~ [비엠] 염증(예: viêm bàng quang 방광염, viêm gan 간염)
{암} ±3.2%
나머지소리 {iêm}을 한국 한자음으로 풀이할 때 {엄}, {염}에 이어 세 번째로 많이 풀이되는 음은 {암}이며, 약 3.2%를 차지합니다. 다만 이 중 활용도가 높은 것은 한 자 뿐입니다.
{암}의 비율
아래는 첫소리 자음들과 결합했을 때의 대표적인 예입니다.
베트남어 | 한자 | 발음 | 한국어 | 예 |
---|---|---|---|---|
tiềm | 潛 | 띠엠 | 잠 | tiềm lực 잠력(잠재력) |
단어장
- tiềm ẩn [띠엠 언] 잠은(드러나지 않게 숨음)
- tiềm lực [띠엠 륵] 잠력(잠재력)
- tiềm năng [띠엠 낭] 잠능(잠재한 능력)
- tiềm phục [띠엠 푹] 잠복
- tiềm tàng [띠엠 땅] 잠장(숨어있다, 잠재하다)
- tiềm thức [띠엠 특] 잠식장(잠재의식)
{음} ±0.7%
나머지소리 {iêm}을 한국 한자음으로 풀이할 때 {엄}, {염}, {암}에 이어서 많이 풀이되는 음은 {음}으로, 전체 대비 약 0.7%를 차지합니다.
{k4}의 비율
아래는 첫소리 자음들과 결합했을 때의 대표적인 예입니다.
베트남어 | 한자 | 발음 | 한국어 | 예 |
---|---|---|---|---|
khiếm | 欠 | 키엠 | 흠 | khiếm khuyết 흠결 |
단어장
- khiếm khuyết [키엠 퀴엣] 흠결
- khiếm nhã [키엠 냐] 흠아(언행 따위가 무례하다)
- khiếm thị [키엠 티] 흠시(시각장애)
{임} ±0.7%
나머지소리 {iêm}을 한국 한자음으로 풀이할 때 앞서 살핀 {음}과 같은 비율로 풀이되는 마지막 음은 {임}입니다.
{임}의 비율
아래는 첫소리 자음들과 결합했을 때의 대표적인 예입니다.
베트남어 | 한자 | 발음 | 한국어 | 예 |
---|---|---|---|---|
nhiệm | 任 | 니옘 | 임 | chủ nhiệm 주임 |
☑ 이 자는 옥편에 따라 <nhiệm> 음은 누락되고 <nhâm>과 <nhậm> 음만 기재돼있으나 실제로 가장 많이 쓰이는 음은 <nhiệm>임.
단어장
- nhiệm kỳ [니옘 끼] 임기
- nhiệm vụ [니옘 부] 임무
- bổ nhiệm [보 니옘] 보임(어떤 직책을 맡도록 임명하다)
- chủ nhiệm [쭈 니옘] 주임
- đảm nhiệm [담 니옘] 담임
- tín nhiệm [띤 니옘] 신임
- trách nhiệm [짯 니옘] 책임
- ủy nhiệm [위 니옘] 위임
결론
베트남 한자음의 나머지소리 {iêm}은 한국 한자음으로 풀이할 때 가장 압도적 비율로 {엄, 염}이 되며, 그 다음에 {암}와 {음}, {임} 순으로 이어집니다.
- # 나머지소리{iêm}
- # 끝소리m
'한자음 대조 > 나머지소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머지소리 {ich}은 {억, 역} (0) | 2024.11.30 |
---|---|
나머지소리 {ia}는 {이} (2) | 2024.10.05 |
나머지소리 {i}는 {이} (0) | 2024.09.06 |
나머지소리 {êt}은 {열} (0) | 2024.07.05 |
나머지소리 {ênh}은 {영} (0) | 2024.06.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