꽝 민 찐 다이 소개
한국에서나 베트남에서나 다수가 아는 사자성어 중에는 <광명정대 quang minh chính đại 公明正大>가 있습니다.
"하는 일이나 행동이 사사로움 없이 정당하고 떳떳하다"는 뜻을 가진 이 고사성어의 베트남어로 된 풀이는 "quang bằng thẳng thắn, không có tư tưởng ích kỷ" 입니다.
한국에서는 <공명정대 công minh chính đại 公明正大>를 더 많이 쓰나 베트남은 앞서 올린 <공명정직 công minh chính trực 公明正直>과 이 포스트에서 다루는 광명정대를 구분해서 씁니다.
quang | minh | chính | đại |
꽝 | 민 | 찐 | 다이 |
광 | 명 | 정 | 대 |
빛 光 | 밝을 明 | 바를 正 | 큰 大 |
목차
4자 해부
사자성어 속 각 자의 풀이는 다음과 같습니다.
1. quang 광 光 ∨
첫 번째 자인 quang은 첫소리 q에 나머지소리 {uang}이 결합한 자입니다.
첫소리 | 나머지소리 | 한자음 | ||
---|---|---|---|---|
q | + | uang | = | quang |
ㄲ | 우앙 | 꽝 | ||
ㄱ | 왕 | 광 |
발음 유사도 (표기법 기준)
베트남 한자음 quang은 한국어로 [꽝]이라고 표기하며, 한국 한자음 <광>과 비교했을 때 첫소리의 발음이 비슷하고 나머지소리의 발음은 같습니다.
한자음 풀이
베트남 한자음 quang의 첫소리 자음 q는 압도적 비율로 한국 한자음의 [ㄱ]이 되며, 첫소리 q와만 결합하는 나머지소리 {uang} 역시 압도적 비율로 한국 한자음 속 {왕}이 됩니다. 즉 어떤 성조가 붙어도 베트남 한자음 quang은 거의 모두 한국 한자음로 <광>이 될거라고 짐작할 수 있습니다.
꼬리에 꼬리를 무는 단어장
해당 한자가 포함된 대표적인 단어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베트남어 | 발음 | 한자 | 한국어 |
---|---|---|---|
quang học | 꽝 꽝 | 光學 | 광학 |
dạ quang | 야광 | 夜光 | 야광 |
huỳnh quang | 휜 꽝 | 螢光 | 형광ha |
vinh quang | 빈 꽝 | 榮光 | 영광 |
- # 첫소리q
- # 나머지소리{uang}
- # 끝소리ng
- # quang
2. minh 명 明 ∨
두 번째 자 minh은 첫소리 m에 나머지소리 {inh}이 결합한 자입니다.
첫소리 | 나머지소리 | 한자음 | ||
---|---|---|---|---|
m | + | inh | = | minh |
ㅁ | 인 | 민 | ||
ㅁ | 영, 엉 | 명 |
발음 유사도 (표기법 기준)
베트남 한자음 minh은 한국어로 [민]이라고 표기하며, 한국 한자음 <명>과는 첫소리의 발음이 같고 나머지소리의 발음은 다릅니다.
자세한 설명은 앞서 포스팅한 <공명정직> 페이지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꽁 민 찐 쯕, 부재의 시대
꽁 민 찐 쯕 소개 한국에서 를 쓰듯 베트남에서는 비슷한 사자성어인 을 씁니다. "하는 일이나 태도가 사사로움 없이 정당하고 올곧다"는 뜻을 가진 이 고사성어의 베트남어로 된 풀이는 "công b
kokovi.com
꼬리에 꼬리를 무는 단어장
같은 자 혹은 철자만 같은 자를 다룬 포스트는 아래 링크에서 더 확인할 수 있습니다.
- # 첫소리m
- # 나머지소리{inh}
- # 끝소리nh
- # minh
3. chính 정 正 ∨
세 번째 자 chính은 첫소리 ch에 나머지소리 {inh}이 결합한 자입니다.
첫소리 | 나머지소리 | 한자음 | ||
---|---|---|---|---|
ch | + | inh | = | chính |
ㅉ | 인 | 찐 | ||
ㅈ | 영, 엉 | 정 |
발음 유사도 (표기법 기준)
베트남 한자음 chính은 한국어로 [찐]이라고 표기하며, 한국 한자음 <정>과 첫소리의 발음이 유사하고 나머지소리의 발음은 다릅니다.
자세한 설명은 앞서 포스팅한 <공명정직> 페이지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꼬리에 꼬리를 무는 단어장
같은 자 혹은 철자만 같은 자를 다룬 포스트는 아래 링크에서 더 확인할 수 있습니다.
- # 첫소리ch
- # 나머지소리{inh}
- # 끝소리nh
- # chinh
4. đại 대 大 ∨
네 번째 자 đại는 첫소리 đ과 나머지소리 {ai}가 결합한 자입니다.
첫소리 | 나머지소리 | 한자음 | ||
---|---|---|---|---|
đ | + | ai | = | đại |
ㄷ | 아이 | 다이 | ||
ㄷ, ㅈ | 애 | 대 |
발음 유사도 (표기법 기준)
베트남 한자음 đại는 한국어로 [다이]라고 표기하며, 한국 한자음 <대>과는 첫소리의 발음이 같고 나머지소리의 발음은 유사합니다.
한자음 풀이
베트남 한자음 đại의 첫소리 자음 đ는 과반의 비율로 한국 한자음의 [ㄷ]이 되며, 나머지소리 {ai}는 압도적 비율로 한국 한자음 속 {애}가 됩니다.
꼬리에 꼬리를 무는 단어장
해당 한자가 포함된 대표적인 단어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베트남어 | 발음 | 한자 | 한국어 |
---|---|---|---|
đại chúng | 다이 쭝 | 大衆 | 대중 |
đại học | 다이 혹 | 大學 | 대학 |
đại hội | 다이 호이 | 大會 | 대회 |
đại lộ | 다이 로 | 大路 | 대로 |
같은 자 혹은 철자만 같은 자를 다룬 포스트는 아래 링크에서 더 확인할 수 있습니다.
활용도 ★★★★
해당 사자성어는 자주 인용되지는 않지만 누구나 무슨 뜻인지 아는 친숙한 한자 성어라 하겠습니다.
또한 이 사자성어를 구성하는 4자(Quang, Minh, Chính, Đại) 모두 베트남에서는 각각 사람의 이름(Minh은 남녀, 나머지는 남자 이름)으로 쓰인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예시
"정대광명"을 통치 이념으로 삼았다는 민망 황제 (출처: Vusta) 한국어로 표기하면 민망하게도 "민망 황제"가 되지만 실제 한자음은 "명망(明命)"입니다.
광명정대했다면 관직자 별장은 없었다 (출처: Vietnamnet)
Làm người phải luôn quang minh chính đại
람 응어이 파이 루온 꽝 민 찐 다이
사람은 항상 광명정대해야 한다
'한자음 대조 > 사자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펀 트 칸 뇨, 책을 태우고 학자를 묻어버리다 (0) | 2023.01.04 |
---|---|
드엉 드엉 찐 찐, 제대로 붙자 (0) | 2023.01.03 |
반 스 느 이, 만사가 뜻대로(새해 인사) (0) | 2023.01.01 |
녓 피엔 단 떰, 나의 마음은 민들레 (0) | 2022.12.31 |
푸 쓰엉 푸 뛰, 바늘 가는데 실 간다 (0) | 2022.12.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