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한자음190 삿 턴 탄 년, 옳은 일을 위해 나를 버리다 삿 턴 탄 년 소개 한국에서처럼 많이 알려지지는 않지만 베트남에도 있는 사자성어 중에 이 있습니다. "자기 몸을 희생하여 인의를 실현하다"는 뜻을 가진 이 사자성어는 유교 사상을 통해 인의를 강조한 공자의 말이라고 하며, 베트남어로 된 풀이는 "bỏ mạng thân mình để được điều nhân nghĩa" 입니다. 사자성어 sát thân thành nhân 삿 턴 탄 년 살 신 성 인 죽일 殺 몸 身 이룰 成 어질 仁 목차 4자 해부 사자성어 속 각 자의 풀이는 다음과 같습니다. 1. sát 살 殺 ∨ 첫 번째 자인 sát은 첫소리 s에 나머지소리 {at}이 결합한 자입니다. 한자음 해부도 첫소리 나머지소리 한자음 s + at = sát ㅅ 앗 삿 ㅅ, ㅊ 알 살 발음 유사도 (표기법 기.. 2023. 1. 12. 일 sự 사 베트남 한자음 sự 소개이런 일, 저런 일, 그런 일이 끝없이 일어나는게 사는 것이라고 하니, 알파벳 s로 시작하는 한자 중에서는 매일 볼수 있는 자인 일 事자의 베트남 음인 sự를 꼽아봅니다. 한자sự事사베트남 한자음한자한국 한자음 목차 한자음 해부도베트남 한자음 sự는 첫소리 자음 s와 나머지소리 {ư}의 조합으로 구성된 자입니다.한자음 해부도첫소리 나머지소리 한자음s+ư=sựㅅ으스 발음 유사도 (표기법 기준)베트남 한자음 sự는 한국어로 [스]라고 표기하며, 한국 한자음 와 첫소리의 발음이 같고 나머지소리의 발음은 다릅니다. 자세한 발음에 관한 설명은 아래 페이지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베트남어의 모음 바로가기 베트남어의 자음 바로가기 동음이의어 (성조 무관)일 事자와 발음은 같으나 다른 뜻을 .. 2023. 1. 11. 꽈 디엔 리 하, 오얏나무 아래서는 갓도 고쳐쓰지 마라 꽈 디엔 리 하 소개 한국에서도 한자성어 버전 보다는 우리말로 된 속담이 더 잘 알려져 있지만 한국과 베트남 모두에 있는 사자성어 중에 가 있습니다. "오이밭과 오얏나무 밑"이라는 겉뜻을 가진 이 고사성어는 풀이하자면 오이밭에서 신발도 고쳐 신지 말고 오얏나무 밑에서는 갓끈도 고쳐 매지 말라는 의미이며, 남에게 의심받을 행동은 하지 말라는 속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베트남어로 된 풀이는 "ở ruộng dưa thì không nên xỏ dép, dưới cây mận thì không nên sửa mũ; tức là nên thân trọng giữ gìn để tránh bị người khác nghi ngờ" 입니다. 사자성어 qua điền lý hạ 꽈 디엔 리 하 과 전 이 하 오이 瓜 밭.. 2023. 1. 10. 꽈 묵 벗 봉, 한번 봐도 놓치지 않는 매의 눈 꽈 묵 벗 봉 소개 활용도는 떨어져도 한국과 베트남에 모두 있는 사자성어 중에는 또한 이 있습니다. "한번 본 것은 잊지 않는다"는 뜻을 가진 이 사자성어는 삼국지에서 유래했다고 하며, 베트남어로 된 풀이는 "đã nhìn qua một lần là không bao giờ quên" 입니다. 사자성어 quá mục bất vong 꽈 묵 벗 봉 과 목 불 망 지날 過 눈 目 아니 不 잊을 忘 목차 4자 해부 사자성어 속 각 자의 풀이는 다음과 같습니다. 1. quá 과 過 ∨ 첫 번째 자인 quá는 첫소리 q에 나머지소리 {ua}가 결합한 자입니다. 한자음 해부도 첫소리 나머지소리 한자음 q + ua = quá ㄲ 우아 꽈 ㄱ 와 과 발음 유사도 (표기법 기준) 베트남 한자음 quá는 한국어로 [꽈]라.. 2023. 1. 8. 꽈 몬 벗 녑, 방앗간도 지나치다 꽈 몬 벗 녑 소개 참새가 방앗간을 지나치지 않는다는 속담이 있지만 바쁘면 참새도 어쩔수 없습니다. 흔히 볼수는 없지만 한국과 베트남에 모두 있는 사자성어 중 이 있습니다. "집 앞을 지나면서도 들르지 않는다"는 뜻을 가진 이 사자성어는 공무에 바쁜 나머지 아는 집도 잠깐 들르지 못하고 그냥 지나칠수 밖에 없다는 비유로 쓰인다고 하며, 베트남어로 된 풀이는 "đi ngang qua cửa nhà mình mà không ghé vào; làm việc công, không nghĩ đến việc nhà" 입니다. 이처럼 한국어 풀이는 "아는 사람의 집"이지만 베트남어 풀이는 "본인 집"이라고 해석하였습니다. 사자성어 quá môn bất nhập 꽈 몬 벗 녑 과 문 불 입 지날 過 문 門 아니 不 들.. 2023. 1. 7. 뀌엔 토 쭝 라이, 흙먼지 휘날리며 돌아오다 뀌엔 토 쭝 라이 소개 한국과 베트남에 모두 존재하는 사자성어 중에는 무협지 느낌이 충만한 가 있습니다. "흙먼지를 일으키며 돌아온다"는 겉뜻을 가진 이 사자성어는 어떤 일에 실패한 뒤 힘을 길러서 다시 도전하여 결국 성공에 이른다는 의미로 쓰인다고 하며, 당나라 시인 두목(Đỗ Mục, 803~853)의 시 에서 유래했다고 합니다. 베트남어로 된 풀이는 "cuộn đất mà trở lại; thu xếp tất cả mọi thứ mà làm lại lần nữa để được thành công" 입니다. 사자성어 quyển thổ trùng lai 뀌엔 토 쭝 라이 권 토 중 래 말/거둘 捲 흙 土 거듭 重 올 來 목차 4자 해부 사자성어 속 각 자의 풀이는 다음과 같습니다. 1. quyển 권 .. 2023. 1. 6. 드엉 드엉 찐 찐, 제대로 붙자 드엉 드엉 찐 찐 소개 한국에서만큼 베트남에서도 널리 쓰이는 사자성어 중에 이 있습니다. "태도나 수단이 정당하고 떳떳하다"는 뜻을 가진 이 사자성어의 베트남어로 된 풀이는 "chính đáng và đàng hoàng, đúng đắn" 입니다. 워낙 정정당당(正正堂堂)에 익숙하여 어순에 따라 글자의 위치가 바뀐 베트남식 버전인줄 알았지만 중국에서도 당당정정(堂堂正正)이라고 쓴다고 합니다. 사자성어 đường đường chính chính 드엉 드엉 찐 찐 당 당 정 정 집 堂 집 堂 바를 正 바를 正 목차 4자 해부 사자성어 속 각 자의 풀이는 다음과 같습니다. 1. đường 당 堂 ∨ 첫 번째 자인 đường은 첫소리 đ에 나머지소리 {ương}이 결합한 자입니다. 한자음 해부도 첫소리 나머지소.. 2023. 1. 3. 이전 1 ··· 17 18 19 20 21 22 23 ··· 28 다음